"한국 과학자 1호가 연구한 별을 아십니까?” 작성일 09-01 2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한국과학언론인회, 원철성 찾기 별자리 관측 행사</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bEhmlw7vjh"> <p contents-hash="691a987e26424f1879bbd6601a504446be612421f51f1d76b919139515423a74" dmcf-pid="KLENDg5raC" dmcf-ptype="general">(지디넷코리아=박희범 기자)<span>“한국의 과학자 1호 박사가 누구인지 아십니까? 또 그 분이 무엇을 연구했는지 아십니까?”</span></p> <p contents-hash="2b25598627e9a9661f330c5c14c2668c52fe160e57f0c790981b71ec1a33fb28" dmcf-pid="9oDjwa1maI" dmcf-ptype="general">한국과학언론인회(회장 허두영)는 한국의 1호 이학박사인 이원철 박사를 기리기 위해 지난 달 29일 충북 충주 살미면 충주유기농체험교육센터에서 ‘칠월칠석, 원철성을 찾아라’는 주제로 별자리 관측 행사를 개최했다.</p> <p contents-hash="e425bdca45fcc171b43c3a0c450876494b0d2ad9a62f27467da1064b4d4d2653" dmcf-pid="2gwArNtsjO" dmcf-ptype="general">이 행사는 한국과학언론인회와 충북과학문화거점센터가 공동주최하고, 충주시청과 과학기술유공자지원센터가 후원했다. 충북과학관협회가 주관한 가운데, 한국과학창의재단, 한국천문연구원 등 14개 기관이 참여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929f2b734114207f16bbcb68d59867568fe979d32a47d153fe6b5f6a1f5a405" dmcf-pid="VarcmjFOjs"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한국 과학자 1호인 이원철 박사가 연구한 원철성을 관측하는 행사가 최근 개최됐다. 앞줄 오른쪽 3번째부터 이태형 충주고구려천문과학관 관장, 정우성 과학창의재단 이사장, 허두영 과학언론인회 회장, 박병준 충북과학거점센터 센터장, 이용수·장재열 과학언론인회 전 회장, 정태환 출연연과학기술인협의회총연합회(연총) 부회장. (사진=한국과학언론인회)"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1/ZDNetKorea/20250901121334080svbe.jpg" data-org-width="637" dmcf-mid="zN60qFnbkv"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1/ZDNetKorea/20250901121334080svbe.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한국 과학자 1호인 이원철 박사가 연구한 원철성을 관측하는 행사가 최근 개최됐다. 앞줄 오른쪽 3번째부터 이태형 충주고구려천문과학관 관장, 정우성 과학창의재단 이사장, 허두영 과학언론인회 회장, 박병준 충북과학거점센터 센터장, 이용수·장재열 과학언론인회 전 회장, 정태환 출연연과학기술인협의회총연합회(연총) 부회장. (사진=한국과학언론인회)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39618d5798e7b93c6824c1ae2fffcd5762ad73ebd3d7a122a4bf8cf645b21e09" dmcf-pid="fNmksA3INm" dmcf-ptype="general">이날 행사에는 전현직 과학언론인과 과학기술 관련 인사 60여 명이 참석했다.</p> <p contents-hash="9c8deb10f40f1ba5f5b6f58525c7ed9acad481210f67108f2ccaba61971af730" dmcf-pid="4jsEOc0Ccr" dmcf-ptype="general">이들은 원철성 연구과정과 최신 연구동향에 대해 논의하고, 이 박사가 연구한 원철성을 망원경으로 직접 관찰하며 그의 삶과 업적을 돌아봤다.</p> <p contents-hash="c0f89b5ae72ec2228a97994bc58b105ec122426fdb8eb437bcb760f9c1be0ff9" dmcf-pid="8AODIkphaw" dmcf-ptype="general">우남 이원철 박사는 미국에서 유학하며 독수리자리 에타별이 맥동변광성이라는 것을 증명해 1926년 한국에서 처음으로 이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 에타별이 바로 ‘원철성’이다.</p> <p contents-hash="fe53412a09f56881921ac08671e6dbfc8cb7b4d2f20388ed959d3e3b7923e90a" dmcf-pid="6cIwCEUlgD" dmcf-ptype="general">이 박사는 귀국해 연희전문대 교수, 인하공대 초대 학장, 초대 중앙관상대장, 초대 한국기상학회장을 지내며 한국 천문학과 기상학의 기틀을 다졌다.</p> <p contents-hash="9e1f538f083e71151af0f50dafce912bead7be9e9679e5ab9d98c72475156be9" dmcf-pid="PkCrhDuSaE" dmcf-ptype="general">이날 강연에서 신민수 한국천문연구원 박사는 ‘새로운 질문과 계속되는 연구들’을 주제로, 이원철 박사의 연구배경과 연구성과를 설명한 뒤, “당시 미국 천문학회 자료를 보면 일제 탄압이 심한 시기에도 이원철 박사는 ‘Seoul, Korea’라고 국적을 분명하게 밝혔다”고 힘주어 말했다.</p> <p contents-hash="1467844c7b30851a550e7fde8d38b4a57cec88dbe34456bcae6de5ecf9610388" dmcf-pid="QEhmlw7vck" dmcf-ptype="general">이어 이태형 충주고구려천문과학관 관장은 “해마다 칠월칠석 무렵에 원철성이 가장 높이 떠서 쉽게 볼 수 있다”며, “여름철 별자리로 견우와 직녀를 보면서, 바로 그 주변에서 밝게 빛나는 원철성을 확인하고 이원철 박사를 기억해야 한다”고 덧붙였다.</p> <p contents-hash="92f723a45a9872844bb783e16757d7b2cdfe4442d469049d403e09bf240fbe2c" dmcf-pid="xDlsSrzToc" dmcf-ptype="general">정우성 한국과학창의재단 이사장은 축사에서 “광복 80주년을 맞아 과학기술이 대한민국을 어떻게 바꿨나를 되새겨야 한다”면서, 독립유공자 중에서 과학기술자를 발굴하고, 조선왕조실록에서 과학기술에 관한 역사를 탐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78828a0c3078540594f42132ea59eb9d50aa817d7a2a4745fe8f1195eed5ce22" dmcf-pid="yq896bEQjA" dmcf-ptype="general">허두영 과학언론인회장은 개회사에서 “근현대사로 보면 이원철 박사는 우리나라 ‘과학자 1호’인데, 정부나 대중은 물론 과학기술자들마저 대선배인 이원철 박사를 거의 알지 못한다”며, 위대한 한국 과학기술자를 존경하고 그 성과를 이어 연구할 수 있도록 널리 알려야 한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ad4bb867518a438d63015810512175be30c3f4d6ec69c871c2d4e2cb31f3a695" dmcf-pid="WytHFYQ0cj" dmcf-ptype="general">한편 오는 2026년 한국의 첫 이학박사 탄생 100주년을 준비하기 위해 진행한 이번 행사에는 과학기술유공자지원센터, 한국과학창의재단, 한국천문연구원, 한국시니어과학기술인협회, 출연연과학기술인협의회총연합회(연총), 과우회, 과학기술포럼, 과학문화융합포럼, 과학기술과사회발전연구회(과사연),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 천문우주과학관협회, 과학문화교육단체연합, 대덕넷, 과학관과문화 등 14개 기관이 참여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901a4d4edf359002469803d071584967ad9f5265c00e1a1e252b6c569c3a78d8" dmcf-pid="YWFX3GxpNN"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신민수 한국천문연구원 박사가 원철성의 연구배경과 연구성과를 설명하고, 100년 전 세계 천문학계 동향과 암울했던 일제 강점기의 연구상황을 소개했다. (사진=한국과학언론인회)"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1/ZDNetKorea/20250901121335388szhk.jpg" data-org-width="638" dmcf-mid="qQBUb0o9cS"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1/ZDNetKorea/20250901121335388szhk.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신민수 한국천문연구원 박사가 원철성의 연구배경과 연구성과를 설명하고, 100년 전 세계 천문학계 동향과 암울했던 일제 강점기의 연구상황을 소개했다. (사진=한국과학언론인회) </figcaption> </figure>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fcc0bba3f8143a735ab02548e53844423e2178f9002b634bf69f74bef299bfea" dmcf-pid="GY3Z0HMUja"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칠월칠석, 은하수를 마주 보는 견우성(알타이르)과 직녀성(베가)과 독수리자리에서 원철성을 관찰하는 모습.(사진 제공=한국과학언론인회)"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1/ZDNetKorea/20250901121336604gfcm.jpg" data-org-width="640" dmcf-mid="B3HTXSf5kl"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1/ZDNetKorea/20250901121336604gfcm.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칠월칠석, 은하수를 마주 보는 견우성(알타이르)과 직녀성(베가)과 독수리자리에서 원철성을 관찰하는 모습.(사진 제공=한국과학언론인회)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2b9c9b37c0e50fe13cb3401009f8f3655027549f67ed7475114a1a46575d1086" dmcf-pid="HG05pXRuog" dmcf-ptype="general">박희범 기자(hbpark@zdne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보스’ 조우진 “중식당 주방장 役, 여경래·박은영 셰프에게 웍질 배워” 09-01 다음 스포츠윤리센터, ‘스포츠 폭력 행위 특별 신고 기간’ 운영 09-01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