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과학기술로 저성장 돌파…내년 R&D 예산 사상 최대”[일문일답] 작성일 09-01 30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구혁채 과기정통부 1차관 내년 예산안 브리핑<br>총 23.7조 예산안 편성…R&D 11.8조(21.6%↑)<br>기초연구 2.74조(17.2%↑), 정보보호 3300억(8.1%↑)<br>PBS(과제기반 인건비 제도) 5년 내 폐지</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Z5IF6bEQD4"> <p contents-hash="8eaa3abdfe99d824957e00b99072d3e33f1c04d03d97386d604f963740465dca" dmcf-pid="51C3PKDxEf" dmcf-ptype="general"> [이데일리 강민구 기자]구혁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차관은 1일 열린 ‘2026년도 과기정통부 예산 정부안 브리핑’에서 “잠재성장률이 정체된 상황에서 인공지능(AI)과 과학기술을 통해 성장을 견인하겠다는 고민을 이번 예산안에 담았다”며 “지난 정부의 연구개발(R&D) 예산 삭감 여파를 조속히 극복하기 위해 역대 최대 규모로 편성했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5817f7fe1171120aef863a2adaa41d8f4b4aa7a375d6fc9be23b6433ea77f186" dmcf-pid="1th0Q9wMDV" dmcf-ptype="general">과기정통부에 따르면 내년도 예산안과 기금운영계획안에 반영된 예산은 총 23조7000억원으로, 올해 추경(21조원) 대비 12.9% 증가했다. 이 가운데 R&D 예산은 11조8000억원으로 전년보다 21.6% 확대됐다.</p> <p contents-hash="d7f20a02875871f3d6dfa156e970bb748eea9a4e8c05f6486a07d6cec8112721" dmcf-pid="tJ9LhDuSO2" dmcf-ptype="general">구 차관은 “관행적이거나 실효성이 낮은 사업은 재검토하고, AI 대전환과 과학기술 생태계 회복이라는 새 정부의 전략 방향을 반영해 편성했다”며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내기 위해 속도감 있고 책임감 있게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4855abaed447c21d54a663dc1e0d06639175f8f8777e411e833b7a4f9b9fcbf" dmcf-pid="Fi2olw7vs9"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구혁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차관이 내년도 예산안에 대해 브리핑하고 있다.(사진=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1/Edaily/20250901124941383uvna.jpg" data-org-width="670" dmcf-mid="XRglUZe7I8"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1/Edaily/20250901124941383uvna.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구혁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차관이 내년도 예산안에 대해 브리핑하고 있다.(사진=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df19a73e1d49ee8e8dc949f4fd91245a5b051e4f4aefbecfea367eccb93a1e99" dmcf-pid="3nVgSrzTOK" dmcf-ptype="general"> Q. 지출 구조조정 규모가 1조2000억원이다. 이유와 추가 조정은? </div> <p contents-hash="a7b93482ab5c9d9afcf7efd24a6f54b25606662a9f28b94f54f61531464e07e3" dmcf-pid="0Lfavmqymb" dmcf-ptype="general">A. 정부 전체 구조조정 규모는 27조원 수준이며, 과기정통부는 1조2000억원을 차지한다. 경상비·성과 부진 사업·중복 사업을 매년 조정해왔고, 이번에도 우선순위 조정 차원의 개편이다. 일부는 단순 삭감이 아니라 다른 사업으로 통합·이관돼 확대된다.</p> <p contents-hash="9d959440714ef7cba0ca365c446a6d38f4f77f6c89ca60b83fb16098d62e256b" dmcf-pid="po4NTsBWDB" dmcf-ptype="general">Q. 과학기술진흥기금, 정보통신진흥기금, 방송통신발전기금이 줄었다.</p> <p contents-hash="f3cf0afc1af2e94dd4022276cd6ffbfed0cc2e5c12a667cb07dd12defd5dfc83" dmcf-pid="Ug8jyObYIq" dmcf-ptype="general">A. 코로나19 이후 경기부양으로 기금을 많이 소진해 여력이 악화됐다. 구조조정을 통해 조정하고 있으며, 일부는 일반회계로 이관한다. 다만 인공지능(AI)과 인력 양성 예산은 유지·확대했다.</p> <p contents-hash="d97489dcb4bdfaf0725b57d9848fac4eedd1c7bff116c2d2e4e809219670266b" dmcf-pid="ua6AWIKGEz" dmcf-ptype="general"><strong>PBS 제도 폐지 후속 조치</strong></p> <p contents-hash="ccb2e4176c5ac32e0403994e61458f44dffba1646382889050a6d538bc2f690b" dmcf-pid="7NPcYC9HI7" dmcf-ptype="general">Q. PBS(과제기반 인건비 제도)폐지와 관련된 예산 구상은?</p> <p contents-hash="f20c5a1843d401ad8a21e4d4eca6d838b06284811708420cbc7995a8c19c0240" dmcf-pid="zjQkGh2XOu" dmcf-ptype="general">A. 30년간 유지된 PBS를 5년간 단계적으로 폐지한다. 소규모 과제 중심에서 대형·중장기 사업으로 전환한다. 기관전략개발단 사업에 3000억 원이상 신규 반영했고, 우수 연구자 인센티브도 신설했다. 현장 의견을 수렴하며 세부 설계를 다듬을 계획이다.</p> <p contents-hash="803a7e4c2d525e77e4f64321b54847684a1c3b7e81a1ce6cb2b3c3ef3824d7be" dmcf-pid="qkRwZv41EU" dmcf-ptype="general"><strong>기초연구 투자 확대</strong></p> <p contents-hash="eb37d20dca0cbdc9f6a6006e52a792bc138c76cb2e4536d82a0e77269ef7bd6b" dmcf-pid="BEer5T8tEp" dmcf-ptype="general">Q. 기초연구 예산 편성 과정에서 현장 의견은 반영됐나?</p> <p contents-hash="65621c1d1d9c56e74969c5a4b63f22bec9f8b0183462f9940d28e5aabed4a08e" dmcf-pid="bDdm1y6Fr0" dmcf-ptype="general">A. 기초연구 연합 등과 협의했다. 지난 정부의 삭감분을 회복하고 기본연구 지원기간을 3년에서 5년으로 늘렸다. 과제 수도 2000개 확대해 내년 기초연구 예산은 2조7400억원으로, 전년 대비 17.2% 증액됐다.</p> <p contents-hash="4bc7076c9be0ab2f29506f78a17affd552fcdf0f5d2866a5bb12a6ef46f29ccd" dmcf-pid="KwJstWP3w3" dmcf-ptype="general"><strong>정보보호 강화</strong></p> <p contents-hash="0aae50749288385b7aafab32cbb82eb5c42fa09cd2fe9e65d13d312c543d9e32" dmcf-pid="9riOFYQ0mF" dmcf-ptype="general">Q. 사이버 사고 대응 예산은 얼마나 늘었나?</p> <p contents-hash="5b82f2d900addaf82ba9f709003c17f87cb453162d1876c04b34c63fbbbe1589" dmcf-pid="2mnI3Gxpmt" dmcf-ptype="general">A. 정보보호 예산은 8.1% 늘어 3300억원이다. 보이스피싱 대응 R&D 예산도 11.1% 증가했으며, AI 기반 침해 대응 시스템 구축에 집중 투자한다.</p> <p contents-hash="ecd01821f7eef969d4ed2db34743c10119a344e1818817c762c273a04dd2373c" dmcf-pid="VsLC0HMUw1" dmcf-ptype="general">Q. AI 외 ICT 분야 예산은 감소했나?</p> <p contents-hash="353285b2b1fe9a38b764bd696c5641e08732203a89c0b3113e91cdb9c4caf868" dmcf-pid="fOohpXRuD5" dmcf-ptype="general">A. ICT R&D 예산은 오히려 22.7% 증가해 1조6142억원으로 편성됐다. 핵심 분야를 중심으로 투자를 확대했다.</p> <p contents-hash="52962762f0c5248df051ff526f984dfa83b98e29870688caef89c4b0cb3d226c" dmcf-pid="4IglUZe7OZ" dmcf-ptype="general"><strong>PBS 폐지 후 3600억 원 배분 계획</strong></p> <p contents-hash="a002878eb462839104454b4b7d2d00812372c819eafb7fc58d3b8db1b1ec9b02" dmcf-pid="8CaSu5dzDX" dmcf-ptype="general">Q. PBS 폐지 관련 예산 3600억 원은 어떻게 배분되나?</p> <p contents-hash="832e8b3ab78c3b3d894a5fa1e3ee8df974edc05ee7a9b46cc4d99934f682a605" dmcf-pid="6Flpx2rRmH" dmcf-ptype="general">A. 종료되는 77개 수탁사업을 묶어 기관전략개발단 사업으로 전환했다. 각 사업 기간이 달라 일괄 조정은 어렵고, 5년 내 점진적으로 채워나갈 방침이다.</p> <p contents-hash="c954a7672dadae1c132bc495b352f373b5f88be86110161eea51c45a64cfc38e" dmcf-pid="P3SUMVmeEG" dmcf-ptype="general">강민구 (science1@edaily.co.kr)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방용국, 첫 정규 앨범 LP로 만난다 09-01 다음 '진짜 좀비 점프' 유주상, UFC 출격 "4戰만에 챔피언 될 것" 09-01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