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삼성, 韓대표 AI반도체 리벨리온 놓고 물밑 신경전 치열 작성일 09-02 35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최대주주 SK그룹, 첫 투자 집행 삼성 견제할까..."HBM 바뀌면 파운드리 바뀔 수 있어"</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YeNhgPhLoD"> <p contents-hash="1d7efb62678f377ff3c532b7967c9e9d6fd8becf1a63320817119a6a45c488e0" dmcf-pid="GdjlaQloAE" dmcf-ptype="general">(지디넷코리아=전화평 기자)한국 대표 AI반도체 업체로 발돋움하고 있는 리벨리온의 거취를 두고 삼성과 SK간 미묘한 신경전이 오가고 있다. 차세대 AI 칩 시장에서 입지를 선점하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p> <p contents-hash="f8bc570ce67c7ee7ed0dd22765f5d1e1d4d33a8c0a9754996dad571e5c939b9e" dmcf-pid="HJASNxSgkk" dmcf-ptype="general"><span>2일 반도체 업계에 따르면 리벨리온은 시리즈C 투자 유치를 진행하고 있다. 최대 2억달러(2천800억원) 규모로, 예상되는 기업 가치는 1조5천500억원 수준이다. 국내 투자사를 넘어 ▲카타르 국부펀드 카타르투자청(QIA) ▲싱가포르 라이온엑스벤처스 ▲미국 소로스 캐피털 매니지먼트 등 글로벌 투자사까지 확보하며 밸류에이션에 가속도가 붙었다.</span></p> <p contents-hash="95972ea769910d07553a01e92648510103679dd3b50280ee1d3552561803c8b3" dmcf-pid="XicvjMvaAc" dmcf-ptype="general"><span>주목할만한 대목은 이번 투자에 삼성증권과 삼성벤처투자가 참여했다는 점이다. 삼성은 이전 몇차례 진행된 투자에서는 참여한 바 없다. 업계에 따르면 삼성 양사의 자금 중 일부는 삼성전자에서 나온 걸로 전해진다. 삼성전자가 간접적으로 투자한 셈이다. 구체적인 투자 규모는 공개되지 않았다.</span></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b24bdb929d4cec0f20aa5cae319d95892505e9bf076230a7eb3a73236f9252c" dmcf-pid="ZnkTARTNkA"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리벨리온 아톰 보드(사진=리벨리온)"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2/ZDNetKorea/20250902100619983zfhx.png" data-org-width="640" dmcf-mid="yqZbHObYar"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2/ZDNetKorea/20250902100619983zfhx.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리벨리온 아톰 보드(사진=리벨리온)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233f39219f5a10a401a03f6fc52fc73efc7397ea6124c6274e83a75238e01f4e" dmcf-pid="5NmHwnHEAj" dmcf-ptype="general"><strong>삼성의 투자, SK그룹에 대한 견제구일까</strong></p> <p contents-hash="b5f44263e89b0d627956f00a341a6837e316631094657c4ba7d61a2b201dfad7" dmcf-pid="1jsXrLXDaN" dmcf-ptype="general">일각에서는 삼성의 투자를 SK그룹에 대한 견제구로 해석하고 있다.</p> <p contents-hash="08b4c373a0c9d8f9e586795e8d7803ee71d23f062a038f102d3980e7c3f6be42" dmcf-pid="tAOZmoZwNa" dmcf-ptype="general"><span>당초 리벨리온은 삼성전자와 긴밀한 비즈니스 관계를 구축해왔다. 자사 제품에 삼성전자의 HBM(고대역폭메모리) 등 메모리 반도체를 탑재해왔으며, 양산도 삼성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에서 진행한다. 차세대 칩인 리벨 쿼드(Rebel Quad)의 경우 디자인하우스 없이 삼성전자와 직접적으로 소통하며, 리벨리온이 삼성 파운드리의 주요 고객임을 증명하기도 했다.</span></p> <p contents-hash="2f0f1ae9cdda4bab3cf031b8c4f34130e96c82079d19939130be12c10eb00f6f" dmcf-pid="FcI5sg5rcg" dmcf-ptype="general"><span>그러나 사피온과 합병으로 양사 관계에 이상 기류가 감지된다. 사피온은 SK텔레콤에 있던 내부 R&D(연구개발) 조직이 분사해 설립된 AI반도체 기업으로, 지난해 8월 리벨리온과 합병했다. 이 과정에서 SK그룹이 리벨리온의 최대 주주로 올라섰다. 삼성전자와의 사업 관계가 소원해질 수 있는 셈이다.</span></p> <p contents-hash="e6fd060fba38404f5d93d5bd6983c0bb2a31c5eb7b7599d7399448b70d32dee5" dmcf-pid="3kC1Oa1mco" dmcf-ptype="general"><span>실제로 리벨리온은 차세대 칩 리벨부터 파운드리를 이원화한다. 칩 양산부터 패키징 전반은 삼성 파운드리를 통해 진행하지만, I/O(입출력) 다이는 TSMC를 통해 양산하는 </span><span>것이다.</span></p> <p contents-hash="6fa08ad502a3d0291c0ad77d1b02331c7fa4e7ef5232a89e6449d1079c6b4cc3" dmcf-pid="0EhtINtsjL" dmcf-ptype="general"><span>다만 해당 계약은 사피온의 X430 프로젝트를 인계받아 진행됐다. TSMC VCA인 미국 알파웨이브세미가 사피온과 596억원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으나, 합병과 함께 해당 계약이 리벨리온으로 넘어갔다. 계약의 위약금 규모가 다소 커 리벨리온 입장에선 진행할 수 밖에 없었다는 후문이다.</span></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4ecfc58307866c94cd51d24869f4809a01fb3791d68ea53f585a774b6c60d9c4" dmcf-pid="pDlFCjFOkn"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리벨리온 리벨쿼드 칩과 카드.(사진=리벨리온)"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2/ZDNetKorea/20250902100620205psan.jpg" data-org-width="640" dmcf-mid="WkoOn4OJNw"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2/ZDNetKorea/20250902100620205psan.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리벨리온 리벨쿼드 칩과 카드.(사진=리벨리온)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ef3c0f5ebdd79c8e160b35d09572a4ad946ccac34bfb56709d66a0ec54d3ef8b" dmcf-pid="UwS3hA3Iji" dmcf-ptype="general"><strong>“HBM 바뀌면 파운드리도 바뀔 수 있어”</strong></p> <p contents-hash="2b8a0feee97b6e3450fb0b9a9b141e1bb5dd4383326fe54a47802a0337ce7397" dmcf-pid="urv0lc0CcJ" dmcf-ptype="general">문제는 HBM(고대역폭 메모리)이다. 회사는 리벨부터 삼성전자 HBM을 탑재한다. 삼성전자로부터 메모리와 파운드리 전반을 아우르는 턴키(일괄생산)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이다.</p> <p contents-hash="204cf3453e5a828016399dca9c73b66840671408abacf65789568b4e2d6e6480" dmcf-pid="7mTpSkphkd" dmcf-ptype="general">다만 SK그룹의 개입으로 HBM이 SK하이닉스의 제품으로 전환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p> <p contents-hash="ad5d3d291171e0733ce273ecdea96f6ff78fc15bc740d11e80284bbc60be73e2" dmcf-pid="zsyUvEUlAe" dmcf-ptype="general"><span>통상적으로 HBM 부문 기술력은 SK하이닉스가 삼성전자보다 앞서고 있다는 게 중론이다. SK그룹 입장에선 SK하이닉스의 HBM 탑재를 추진하기 좋은 기회다. 이 때 SK하이닉스 제품을 탑재하게 될 경우 파운드리는 TSMC를 이용할 가능성이 크다.</span></p> <p contents-hash="fe8440a4bc91299fd6352647c5b90148e1d20e46213bd2b166b3faf373532241" dmcf-pid="qOWuTDuSaR" dmcf-ptype="general"><span>사안에 정통한 업계 관계자는 "(SK그룹이) SK하이닉스 HBM을 공급해줬을 때 삼성 파운드리를 이용하게 할 가능성은 매우 낮다"며 HBM의 전환이 파운드리 전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했다.</span></p> <p contents-hash="786f4b02168e0ba5f14f6d320b52a9834436928f31d3e5a88eb99a8fa9db1d6c" dmcf-pid="BIY7yw7vgM" dmcf-ptype="general"><span>일각에선 리벨리온이 글로벌 AI반도체 시장에서 차별화된 기술 경쟁력을 확보할 경우, 삼성과 SK 양사 모두가 견제와 동시에 이익을 얻는 효과도 누릴 것이라는 기대의 목소리도 나온다.</span></p> <p contents-hash="6cd5296a42d491933c5a8e80e0873feb2b80d7d6f4459ff4362d5e80528ca0cb" dmcf-pid="bQLsifsdNx" dmcf-ptype="general"><span>AI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삼성, SK, KT 등 우리나라 굴지의 기업들이 합심해서 지원하는 모습이 외국에서 리벨리온을 주목하는 이유"라며 "결국 AI칩은 반도체 생태계 싸움"이라고 설명했다.</span></p> <p contents-hash="e8d536c3190c3baa049808c6f9e406595e5daa67d9c05b3443ea583bf3f2f7cc" dmcf-pid="KxoOn4OJjQ" dmcf-ptype="general">전화평 기자(peace201@zdne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펄어비스 '붉은사막', 게임스컴 2025에서 흥행 기대감 높여 09-02 다음 배터리 수명 늘어서?…美 아이폰 사용자 70% "아이폰17로 갈 것" 09-02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