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납 없는 실리콘 초음파 패치 개발…웨어러블 혈압계 등 적용" 작성일 09-03 19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KIST·KAIST·서울대병원·美 스탠퍼드대 공동연구…"친환경·성능 향상"</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7Ix6PObYHR"> <p contents-hash="f189cd1741b7aa1038430e74b906cec429b6a5dbed88fb8beb185a02ab96f118" dmcf-pid="zCMPQIKGZM" dmcf-ptype="general">(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현재 상용화돼 병원 진단과 원격의료 등에 사용되는 납(Pb) 기반의 압전 세라믹 웨어러블 초음파 장치들과 달리 납을 전혀 쓰지 않고 실리콘을 기반으로 한 일회용 친환경 초음파 패치가 개발됐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6cda6e16a8d91a6b9cb0c6688ff5ed38bcb20878e2ad07a4003bb44cefd7639b" dmcf-pid="qhRQxC9HZx"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친환경 실리콘 나노 기둥을 이용한 일회용 초음파 패치 응용 예시 매일 일회용 초음파 패치를 통해 아침에 출근 동안에 심·뇌혈관 질환 조기진단(실시간 혈압 모니터링)을 통해 건강 모니터링을 한 후 쓰레기통에 버리는 미래 모습. [KIST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3/yonhap/20250903120231968qrwk.jpg" data-org-width="621" dmcf-mid="UoLTyfsd5d"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3/yonhap/20250903120231968qrwk.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친환경 실리콘 나노 기둥을 이용한 일회용 초음파 패치 응용 예시 매일 일회용 초음파 패치를 통해 아침에 출근 동안에 심·뇌혈관 질환 조기진단(실시간 혈압 모니터링)을 통해 건강 모니터링을 한 후 쓰레기통에 버리는 미래 모습. [KIST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b30a894483d831a7fe66cb7df680f2cf2a1b4a83c29b49611d1cca9df67b7374" dmcf-pid="BlexMh2X5Q" dmcf-ptype="general">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바이오닉스연구센터 이병철 박사팀은 KAIST 정재웅 교수팀, 서울대병원 이활 교수팀, 미국 스탠퍼드대 쿠리-야쿱 교수팀과 함께 납을 전혀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기존 납 기반 초음파 소자를 뛰어넘는 성능의 실리콘 기반 일회용 친환경 초음파 소자를 처음으로 구현했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6fc6ef14f4fd80181d7215ced416ae9714867dd2d50e2c1c29b9825a38e3f951" dmcf-pid="bSdMRlVZHP" dmcf-ptype="general">웨어러블 초음파 장치는 병원 진단은 물론 재활 모니터링, 원격의료 등 다양한 의료 현장에서 활용되고 있으나 현재 상용화된 장치들은 대부분 유해 물질인 납 기반의 압전 세라믹을 사용, 인체·환경 유해성 등 문제가 있다. </p> <p contents-hash="66db389bfe35fe71e991395f467f41daca819c6353f3ea7487bb49368b52ea01" dmcf-pid="KvJReSf5G6"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반도체 공정을 이용해 실리콘을 나노 기둥 구조로 정밀하게 가공해 초박형 패치를 제작, 초음파 소자에 필수적인 정합층과 흡음층을 제거하면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확보해 두께가 수백 마이크로미터(㎛)에 불과한 얇은 구조를 구현했다.</p> <p contents-hash="9141fe844b50135991116450570cae0a31b8fb8f7d342f45416f95f71364195e" dmcf-pid="9XNogHMUZ8" dmcf-ptype="general">이렇게 제작된 패치는 상용 소자 대비 30% 이상 높은 출력 압력을 기록해 영상 품질이 크게 향상되고 목처럼 움직임이 많은 부위에서도 혈류 속도와 혈관 직경을 안정적으로 측정하는 등 성능과 활용 가능성이 실험으로 입증됐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6f37c7d254b97d6f1587b328c520660f04aa2247512117b48edeb0593fa794d9" dmcf-pid="2ZjgaXRuX4"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친환경 실리콘 나노 기둥을 이용한 일회용 초음파 패치 친환경 실리콘 나노 기둥을 이용한 일회용 초음파 패치를 이용해 양쪽 경동맥의 초음파 영상/혈압을 동시에 측정한 결과. 납이 들어있지 않은 실리콘 나노 기둥을 스프링으로 이용해 초음파 소자를 구현했고, 이를 통해 초음파 영상을 만들 수 있는 유연 초음파 어레이 패치를 만들었다. 이런 일회용 초음파 패치를 사람 목 양쪽에 붙여 경동맥, 경정맥의 혈관을 관측하고 여기서 나오는 혈압을 동시에 측정했다. [KIST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3/yonhap/20250903120232261pzoj.jpg" data-org-width="1200" dmcf-mid="uVHWY8IiGe"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3/yonhap/20250903120232261pzoj.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친환경 실리콘 나노 기둥을 이용한 일회용 초음파 패치 친환경 실리콘 나노 기둥을 이용한 일회용 초음파 패치를 이용해 양쪽 경동맥의 초음파 영상/혈압을 동시에 측정한 결과. 납이 들어있지 않은 실리콘 나노 기둥을 스프링으로 이용해 초음파 소자를 구현했고, 이를 통해 초음파 영상을 만들 수 있는 유연 초음파 어레이 패치를 만들었다. 이런 일회용 초음파 패치를 사람 목 양쪽에 붙여 경동맥, 경정맥의 혈관을 관측하고 여기서 나오는 혈압을 동시에 측정했다. [KIST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edcef5829e7514515b11cf27e2d0ec33ddf104edc9c882cbc9f131a8c7263939" dmcf-pid="V5AaNZe7Yf"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혈압계와 비교해 96% 이상의 정확도를 보여 임상 적용 가능성이 확인됐다며 이 기술은 향후 원격진료나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기기 분야로 폭넓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p> <p contents-hash="918712bc26138e684e0bfab0e8d6701ab857a917908032ce992ce903d5de24e6" dmcf-pid="f1cNj5dzXV" dmcf-ptype="general">이어 실리콘 기반 초음파 소자는 반도체 공정을 활용해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사용 후에도 환경 부담이 적다며 특히 원가가 기존 납 기반 소자의 약 20분의 1 수준으로 경제성이 뛰어나고 친환경적 특성을 갖춰 일회용 초음파 패치 시장을 선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p> <p contents-hash="88729c9288fc354657225ea95b82db2208391f93ce4dcdb2fb85b91ba4d692f4" dmcf-pid="4tkjA1Jqt2" dmcf-ptype="general">이병절 박사는 "이 연구는 해로운 납 대신 안전한 실리콘을 활용해 누구나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초음파 패치를 구현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b06aa388567c6b2156ad694339c24ff2957a8d29ccf1700359803406087e0bab" dmcf-pid="8FEActiBX9" dmcf-ptype="general">서울대병원 이활 교수는 "실리콘 기반 초음파 영상 기기는 압전 소자 기반 기기에 비해 유연하고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어 다양한 상황에서 초음파 영상의 의학적 적응의 범위를 획기적으로 넓힐 것"이라고 말했다.</p> <p contents-hash="18afc1eb8a0445378075fc552255fbc0456f41fb6bf31946bac9a0b9a8aae598" dmcf-pid="63DckFnb5K" dmcf-ptype="general">이 연구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s) 온라인판에 게재됐다.</p> <p contents-hash="4948d1ab295bcea4298307bf298fc5c5709b1dc73b38d063eec90b294554508a" dmcf-pid="P0wkE3LKXb" dmcf-ptype="general">scitech@yna.co.kr</p> <p contents-hash="73586e88668daa33d87428e4eead701908f8d3013bdc9debb5f416826c98a3ae" dmcf-pid="xUmDwpg2Zq" dmcf-ptype="general">▶제보는 카톡 okjebo</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도전만화' 신화 다시 쓴다…20살 네이버웹툰이 '숏폼' 택한 이유 09-03 다음 ‘박나래 자택’ 금품 훔친 절도범, 징역 2년 선고 09-03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