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내서 부드러워지는 '정맥주사바늘' 개발…정재웅 교수, 이달의 과기인상 작성일 09-03 5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액체금속 갈륨이 체온에 반응해 상변화하는 특성 활용<br>주사바늘에 나노박막 온도센서 탑재해 체온 모니터링도</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U8bsOzA8XW">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6197e71517d82dda68a82ba0d77aeedd3f4c6c78cbc419bd7bd4b0a689a0e29" dmcf-pid="u6KOIqc61y"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서울=뉴시스]이달의 과학기술인상 9월 수상자로 선정된 정재웅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왼쪽 두번째)가 실험실에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3/newsis/20250903120159982izrr.jpg" data-org-width="720" dmcf-mid="0V0ActiBtG"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3/newsis/20250903120159982izrr.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서울=뉴시스]이달의 과학기술인상 9월 수상자로 선정된 정재웅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왼쪽 두번째)가 실험실에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407d7abf513d22b367d12d4839cd4fba6c5ea9b9896c5fb80acbca9a298267a9" dmcf-pid="7GlPQIKG1T" dmcf-ptype="general">[서울=뉴시스]윤현성 기자 = 상온에서는 딱딱했다가 체내에 삽입되면 부드러워지는 정맥 주사바늘을 개발한 정재웅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가 9월의 과학기술인으로 선정됐다. 정재웅 교수의 연구 성과는 주사바늘이 야기하는 합병증이나 의료 종사자의 찔림 사고 등을 예방해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p> <p contents-hash="3d1a88061f3cc723500238d2e2711f9c0006f2b6a93c12d97f53869914d42a41" dmcf-pid="zHSQxC9Htv" dmcf-ptype="general">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9월 수상자로 정재웅 교수를 선정했다고 3일 밝혔다.</p> <p contents-hash="ebe36683a7f5167e6d70dca4c4c21ffa0a883d47ac71cbba2b0eae5b5a6ecaf3" dmcf-pid="qXvxMh2X1S" dmcf-ptype="general">이달의 과학기술인상은 최근 3년간 독보적인 연구개발 성과로 과학기술 발전에 공헌한 연구개발자를 매월 1명씩 선정해 과기정통부 장관상과 상금 1000만원을 수여하는 상이다.</p> <p contents-hash="01c6e9353a25cf21d4ccd9673c33b3d6bb5530c85fc4e421431fd7b44f535bce" dmcf-pid="BZTMRlVZGl" dmcf-ptype="general">과기정통부와 연구재단은 '세계 환자안전의 날(9월17일)'을 앞두고 체온에 의해 부드러워지는 정맥 주사바늘을 개발해 환자의 안전을 강화하는 등 웨어러블(신체착용)·임플랜터블(체내삽입) 전자 소자 및 의료기기 융복합 연구로 헬스케어 혁신에 기여한 정재웅 교수를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b3c66d4c4ee9a348423f304ac4dc15e78c4bbfe945a2d2b83540a44917647620" dmcf-pid="b5yReSf5th" dmcf-ptype="general">정맥주사는 혈관에 약물을 직접 주입하는 치료방법으로 신속한 약물 효과와 지속적인 약물 투여가 가능해 의료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p> <p contents-hash="3a8bee9047c083d43e3b795e92a523a07055627596219f811cc347138dc48807" dmcf-pid="K1Wedv41tC" dmcf-ptype="general">다만 기존 정맥 주사바늘은 딱딱한 금속이나 플라스틱으로 제작돼 혈관벽 등을 손상하거나 정맥염과 같은 합병증을 야기할 수 있고, 주사바늘 처리 과정에서도 의료 종사자의 찔림 사고 및 그에 따른 질병 감염 위험 우려가 있다.<br>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902a495a34460644af41089bbf069608852812fc6594459bd2d5f3cda0a0dd2b" dmcf-pid="9tYdJT8tGI"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정재웅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가 개발한 체온에 의해 부드러워지는 정맥 주사바늘의 모습. (사진=과기정통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3/newsis/20250903120200141iycv.jpg" data-org-width="720" dmcf-mid="pvWedv41HY"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3/newsis/20250903120200141iycv.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정재웅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가 개발한 체온에 의해 부드러워지는 정맥 주사바늘의 모습. (사진=과기정통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fe13da3717e3cf80970dacbd87f29aaf95acd93eae4513a712035895959a9090" dmcf-pid="2FGJiy6FHO" dmcf-ptype="general">정재웅 교수는 액체금속 갈륨이 체온에 반응해 고체에서 액체로 상변화하는 특성을 활용해 상온에서 딱딱한 상태이다가 체내에 삽입되면 생체 조직처럼 부드러워지는 가변강성 주사바늘을 개발했다.</p> <p contents-hash="25f3625c7c87c5b736b9253efd99fe00a7a2ea0fd3577b2759ebc7ff912657d3" dmcf-pid="V3HinWP3ts" dmcf-ptype="general">가변강성 주사바늘은 환자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보장하고, 사용 후 상온에서 부드러운 상태를 유지해준다. 이를 통해 의료 종사자의 바늘 찔림 사고를 예방하고 비윤리적인 주사바늘 재사용 문제도 원천 차단한다.</p> <p contents-hash="121859a6449ac243c0d98bdddfbc33d26edef7df9191e7f1567c21469351e24b" dmcf-pid="f0XnLYQ05m" dmcf-ptype="general">또 정재웅 교수는 정맥주사 중 약물이 유출되면 주위 조직의 온도가 낮아지는 현상에도 주목했다. 정재웅 교수는 정맥 주사바늘에 나노박막 온도센서를 탑재해 국부 체온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기능을 구현하여 정맥 주사 약물 누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했다. </p> <p contents-hash="e2ae54d7b7b3b7e694f90c1099830039c1b735fe313eccc6609625d6cf4eafb2" dmcf-pid="4pZLoGxp1r" dmcf-ptype="general">이번 연구성과는 세계보건기구가 요구하는 환자 건강증진 및 의료진 안전도모에 새로운 비전을 제시했다. 지난해 8월 국제 학술지 '네이처 바이오메디컬 엔지니어링(Nature Biomedical Engineering)'의 표지논문으로도 출판됐다. </p> <p contents-hash="69e0b200c98c591136c39eef46cdc5c2d201c1374da70e2369e1e3f7d5728cc2" dmcf-pid="8U5ogHMU5w" dmcf-ptype="general">정재웅 교수는 "이번 연구는 기존의 딱딱한 의료용 바늘로 인한 문제를 극복하고, 주사바늘 찔림사고나 재사용으로 인한 감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며 "앞으로 가변강성 주사바늘 기술이 환자와 의료진 모두의 안전을 향상시키는 의료 현장의 핵심 기술로 발전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개발에 힘쓰겠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e83c478b267a89150e516a5cf036b657b943a2d8780384c347dbf4a8d213caf8" dmcf-pid="6u1gaXRuHD" dmcf-ptype="general"><span>☞공감언론 뉴시스</span> hsyhs@newsis.com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팬텀싱어 우승자, 정승원, KBS2 ‘불후의 명곡’ 출연… 신승훈 특집 무대 09-03 다음 '결혼' 윤정수, ♥원자현 향한 관심에 "괴로워해" 호소…'광저우 여신' 과거까지 관심 [엑's 이슈] 09-03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