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회사 한수원의 특별한 부산영화제 후원, 왜? 작성일 09-03 6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8mm 영화 연출했던 황주호 한수원 대표... 영화계 "공기업 협찬 선례되길"</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Qil9muNfUa"> <p contents-hash="2c371bfcc9b0a6df8a1dc5d38006640aa67f6223bb59936c2a9cce058a3d1a8d" dmcf-pid="xnS2s7j4pg" dmcf-ptype="general">[성하훈 영화저널리스트]</p> <table align="center" border="0" cellpadding="0" cellspacing="0" contents-hash="9c8dfd59844735c44e7abeb9811834d243a6d6dd0b48986dc952930babd3307d" dmcf-pid="y56O9kphUo" dmcf-ptype="general"> <tbody> <tr> <td>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3/ohmynews/20250903141502342rhzk.jpg" data-org-width="1280" dmcf-mid="8OgXdv413A"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3/ohmynews/20250903141502342rhzk.jpg" width="658"></p> </figure> </td> </tr> <tr> <td align="left"> <strong>▲ </strong> 7월 23일(수) 오전 11시 영화의전당에서 제30회 부산국제영화제와 한수원의 후원 협약식이 열렸다. 이날 협약식에는 박광수 부산국제영화제 이사장과 이상욱 한수원 고리원자력본부장 등 관계자들이 참석했다.</td> </tr> <tr> <td align="left">ⓒ 부산영화제 제공</td> </tr> </tbody> </table> <div contents-hash="2bff37dd4d9f644d4a1275f198daaafe444515abc41d0e7fda9bfc216e9b3675" dmcf-pid="W1PI2EUl0L" dmcf-ptype="general"> 지난 윤석열 정권에서 국내 영화제 지원을 대폭 축소해 놓은 탓에 영화제들이 운영에 어려움이 있는 가운데, 국책기업인 한국수력원자력(황주호 대표, 아래 한수원)이 2년 연속 부산영화제를 후원하면서 눈길을 끌고 있다. </div> <p contents-hash="0c584d5b933eef8b3e9b43fd9a7cb4e51f1c32b27fac7ebd3180295d7bbbedb4" dmcf-pid="YtQCVDuSzn" dmcf-ptype="general">부산영화제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스폰서로 참여하는 한수원과 지난 7월 협약식을 맺었다. 가장 많은 후원을 한 다이아몬드 스폰서인 샤넬 다음으로, 부산은행·제네시스 등과 함께 골드 스폰서로 참여한다.</p> <p contents-hash="272fc691a17afa148d8e480118287f69683e8154a692a994a433066cf3c9a57d" dmcf-pid="GFxhfw7v7i" dmcf-ptype="general">새 정부가 출범했다고는 해도 지난 정권부터 시작한 한수원의 부산영화제 지원에는 특별한 점이 있다.</p> <p contents-hash="41e9e4487409d0a8e5b0d2e7d6532be5c943a0dd845ec6059ead5bf08e70b17c" dmcf-pid="HHfrBjFO7J" dmcf-ptype="general">물론 한수원이 외부 협찬이나 후원을 적지 않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국내 영화제들이 협찬사 확보가 녹록하지 않은 현실에서 공기업이 문화예술 지원에 뛰어든 것은 좋은 선례라는 반응이 나온다.</p> <p contents-hash="2d271849e9b269c9324f8f032f2664ddb831815ff6888fa08bd2f6cb3e69a2b6" dmcf-pid="XX4mbA3IUd" dmcf-ptype="general">한수원은 '부산국제영화제가 원전 산업의 뿌리를 둔 부산에서 열리는 만큼, 앞으로의 발전을 위해 후원을 결정했다'고 밝혔다.</p> <div contents-hash="2eb34ad5dd84202a6993576fd90dad509f3e5d1269bf10877234178bba9965d3" dmcf-pid="ZZ8sKc0CFe" dmcf-ptype="general"> <strong>8mm 다큐 연출했던 한수원 황주호 대표</strong> </div> <table align="center" border="0" cellpadding="0" cellspacing="0" contents-hash="af3722d47766c5fefeda0fc9cbb53cac4d1a75d2684fae11ce921d759188b3a0" dmcf-pid="556O9kphpR" dmcf-ptype="general"> <tbody> <tr> <td>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3/ohmynews/20250903141503611xmnq.jpg" data-org-width="1000" dmcf-mid="6pXxTVmeuj"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3/ohmynews/20250903141503611xmnq.jpg" width="658"></p> </figure> </td> </tr> <tr> <td align="left"> <strong>▲ </strong> 2019년 12월 서울독립영화제 독립영화 아카이브 전 <서울 7000> 상영 후 관객과의 대화에 나선 서울대 얄라셩 출신 인사들. 왼쪽부터 김인수 전 부산영상위원회 운영위원장, 김정희 교수, 한수원 대표인 황주호 교수, 김홍준 감독</td> </tr> <tr> <td align="left">ⓒ 성하훈</td> </tr> </tbody> </table> <div contents-hash="1be19101f9c5e3b96319b7f898511ebc93a502f6d3eb69c578e6ad5a4411675d" dmcf-pid="11PI2EUl3M" dmcf-ptype="general"> 하지만 한수원의 후원사로 참여한 것에는 황주호 대표가 영화와 깊은 연관이 있는 것도 빼놓을 수 없다. 경희대 부총장을 역임한 황주호 대표는 한국영화운동의 시발점으로 꼽히는 서울대 얄라셩에서 활동했다. 1980년 얄라셩이 결성될 당시 회원으로 참여해 박광수 이사장과 함께 활동했었다. 얄라셩 회장을 역임한 홍기선 감독과 김동빈 감독의 학과 선배이기도 하다. </div> <p contents-hash="a0b2d358f1feeb8be95cae14223134e64f430aea67972f7fdae039ef50e6911a" dmcf-pid="ttQCVDuSpx" dmcf-ptype="general">특히 그의 이력에서 돋보이는 점은 8mm 단편영화를 연출한 감독이라는 점이다. 1975년 한국영상자료원 김홍준 원장과 함께 8mm영화 <서울 7000>을 만들었다. 당시로서는 매우 드물었던 학생들의 창작 작품으로 오랜 시간이 흘러도 가치있는 작품으로 통한다.</p> <p contents-hash="8cf7c314e94464fae65eaa05111edd1f33f28849027e5c198d186e5e44b5c4c6" dmcf-pid="FFxhfw7vzQ" dmcf-ptype="general">이 영화는 지난 2019년 11월 30일 서울독립영화제 독립영화 아카이브전에서 상영돼 큰 관심을 모았다. 서울의 하루를 8mm카메라로 담은 다큐멘터리로 1980년대 영화운동이 본격화되기 전 순수 영화의 유형을 볼 수 있는 귀중한 작품이라는 것이 서울독립영화제의 평가였다. 황주호 대표는 김홍준 감독, 김인수 전 부산영상위원회 운영위원장, 김정희 교수 등 얄라셩 출신 인사들과 함께 관객과의 대화에 나서기도 했다.</p> <p contents-hash="ca6e3fdc4e327a52db5dd4cd854ae0b50b7ebb5339f976818ff814076b377dab" dmcf-pid="33Ml4rzT7P" dmcf-ptype="general">박광수 부산영화제 이사장에 따르면 '이사장으로 선임된 후 황주호 대표 이름으로 축하난이 왔었으나 그때만 해도 한국수력원자력 회사 이름을 눈여겨보지 않았다'고 한다. '이후 황주호 대표가 부산 기장의 고리원자력발전소를 방문하러 왔을 때, 연락이 돼 만나게 됐고, 그 과정에서 협찬을 받을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7ad8adbe86b1a3cbcfb8bcee0ca44ffbf7cadfc50c54afab580de333cbe124ed" dmcf-pid="00RS8mqyU6" dmcf-ptype="general">부산영화제는 한수원 등의 외부 후원 덕분에 지난해 윤석열 정권의 영화제 예산 삭감에도 영화제를 안정적으로 치러낼 수 있었다고 밝혔다. 올해 30회를 맞아 또 한 번 도움을 받게 됐다.</p> <div contents-hash="19a848ff65d24b8a39e268143726fbaaa7a29926e9cea7dc40cdf16bbbad4bda" dmcf-pid="ppev6sBWu8" dmcf-ptype="general"> <strong>K-콘텐츠와 영화산업이 산업에도 도움돼</strong> </div> <table align="center" border="0" cellpadding="0" cellspacing="0" contents-hash="ca26acd437c332bf278bdaa5e5620123eff6e95e6872811d2dbfc42838768abe" dmcf-pid="UfcFoGxpp4" dmcf-ptype="general"> <tbody> <tr> <td>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3/ohmynews/20250903141504915zyls.jpg" data-org-width="658" dmcf-mid="PMqj0iGkzN"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3/ohmynews/20250903141504915zyls.jpg" width="658"></p> </figure> </td> </tr> <tr> <td align="left"> <strong>▲ </strong> 지난해 박광수 부산영화제 이사장(왼쪽)과 후원 협약식을 맺은 황주호 한수원 대표.</td> </tr> <tr> <td align="left">ⓒ 부산영화제 제공</td> </tr> </tbody> </table> <div contents-hash="1064cc2bf4e3bc7f0f23a4dfe3ed50058b4f9a71366f8594994cd454cfb60e55" dmcf-pid="u4k3gHMUuf" dmcf-ptype="general"> 황주호 한수원 대표는 지난해 부산영화제와 후원 협약식을 체결하면서 "국가 위상을 높여온 K-콘텐츠, 영화산업이 한수원의 해외 사업에 도움이 된다"며, "앞으로도 국내 영화계와 원전 산업계가 좋은 에너지를 주고 받아, 세계 무대의 주인공이 되기를 기원한다"고 말했다. </div> <p contents-hash="30a5a12b708e73396af8b31d7bbdb681e77fc2c4079ea151a7c958ddba518f06" dmcf-pid="78E0aXRuzV" dmcf-ptype="general">올해도 한수원은 후원 협약을 맺으면서 "부산 최대의 문화 예술 행사인 부산국제영화제를 후원하며 글로벌 도시 부산의 경제·문화 발전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는 입장을 밝혔다.</p> <p contents-hash="01fa6f16ddb6c6f6a083e09f4c45a9814c86090b01f4274e00c2df8ea1ee20fe" dmcf-pid="z6DpNZe732" dmcf-ptype="general">부산영화제는 올해 부산 15개 장소에서 영화를 상영하는 동네방네비프 행사를 한수원의 도움을 받아 기장군 장안읍에 위치한 고리스포츠문화센터 멀틱공연장에서도 갖는다.</p> <p contents-hash="402135b72cf189d5eb2a8fa9deeaafc0c11d328e1e28f890ce3b1211f1cbb9e2" dmcf-pid="qPwUj5dzU9" dmcf-ptype="general">한수원의 부산영화제 지원에 일부 영화인들은 비판적 시각을 드러내기도 했었다. 반핵, 탈핵 등 문제를 다룬 영화들이 상영되기도 하는 부산영화제에 원자력 회사의 후원이 적합하지 않다는 것이었다. 예전에 한 대기업이 국내 영화제에 자신들에 비판적인 영화를 빼달라고 요청하며 후원과 결부시켰던 사례가 있기도 했다.</p> <p contents-hash="87151efcfe73e5deb2d4f1b6dc22195408fd5f8df2c05307c4cce5c26d9bfa33" dmcf-pid="BQruA1Jq0K" dmcf-ptype="general">하지만 부산영화제 측은 "순수한 협찬일 뿐 어떤 조건이나 간섭이 있는 것은 아니기에, 오해일 뿐이다"라고 가볍게 일축했다. 국내 영화계 인사들도 "윤석열 정권에서 의도적으로 영화제 예산을 삭감한 상황에서, 국책기업이 나서 후원한다는 게 부담일 수 있었을 텐데 협찬에 나선 것만으로도 의미가 있다"면서 "민간기업만 아닌 공기업들도 영화제 협찬에 관심을 보이는 좋은 선례가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고백의 역사' 공명 "손잡고 보고 싶어하는 연기하며 설렜죠" 09-03 다음 ‘케데헌’ 헌트릭스 완전체, 美 ‘MTV VMA’ 시상식 무대 오른다 09-03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