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플랫폼 규제 2년...유럽 소비자들 불편·피해↑ 작성일 09-03 18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서비스 출시 지연·보안 위험 증대·중소기업 부담 심화..."타산지석 삼아야"</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5PE6fQloa0"> <p contents-hash="cd07ff14fe8f680dcb4d0ed4d9b8dc9d2646580d944b028e6750a59e7a2f499a" dmcf-pid="1QDP4xSgo3" dmcf-ptype="general">(지디넷코리아=안희정 기자)<span>유</span><span>럽연합 집행위원회(European Commission)가 디지털시장법(DMA) 시행 2년을 맞아 연례 보고서를 내고 성과를 강조했지만, 실제 소비자 경험은 정반대라는 지적이 나왔다. </span><span>서비스 출시 지연, 보안 위험 증대, 중소기업 부담 심화 등 부작용이 속출하면서 유럽 내에서 ‘디지털 철의 장막’을 자초했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span></p> <p contents-hash="d81ec2c7c426461b0665c7872e37528581b2a3224368c74f51d4eded351db1da" dmcf-pid="txwQ8MvakF" dmcf-ptype="general"><span>DMA는 시장 지배력을 남용하는 플랫폼 기업들을 ‘게이트키퍼(gatekeeper·문지기)’로 지정해, 사전 규제를 적용하는 법안이다.</span></p> <p contents-hash="55c8da7bd87c871d02fc0197d7474882c50e2fae5d5704cfdae8184cff393f76" dmcf-pid="F54ZG1Jqjt" dmcf-ptype="general">한국인터넷기업협회 한승혜 디지털경제연구원은 'EU 디지털 규제의 이면 - DMA 시행 2년, 성과 홍보에 가려진 현실' 보고서를 3일 공개했다. 여기에서 한 연구원은 "공정 경쟁·소비자 권익 보호라는 DMA 목표와 달리, 서비스 지연·보안 위험·경제적 비용 증가라는 역효과가 부각돼 규제 설계 단계에서 현실 기반 검증의 필요성이 한층 더 부각되고 있다"고 기술했다.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1d97123089f77766c622f69dcdd3afd565b053c8b1ebf610baa26a525ea02361" dmcf-pid="3185HtiBk1"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사진=유럽연합 DMA 소개 홈페이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3/ZDNetKorea/20250903155919046hcof.png" data-org-width="638" dmcf-mid="ZA4ZG1Jqcp"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3/ZDNetKorea/20250903155919046hcof.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사진=유럽연합 DMA 소개 홈페이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58b33d2e9b7f13a2dcbf257e70c3d22a20ad9cd66d7eac8cbd7eb9afded8aaba" dmcf-pid="0t61XFnbo5" dmcf-ptype="general"><strong>성과 자축했지만...서비스 지연·보안 위협</strong></p> <p contents-hash="864cead8f93c8e97cf90a8cce36051f5650c7524956de5edd6564164f3ddb89b" dmcf-pid="pFPtZ3LKgZ" dmcf-ptype="general">EU 집행위는 보고서에서 ▲애플의 브라우저 선택 화면 개선 ▲메타의 ‘pay-or-consent(비용 지불 혹은 정보 수집 동의)’ 모델 조사 ▲구글의 자기우대 시정 등을 대표 성과로 내세웠다. 그러나 DMA 시행 후 주요 디지털 서비스들의 유럽 내 출시가 지연되거나 아예 이뤄지지 않는 사례가 급증했다.</p> <p contents-hash="dd434dcb267400086ad9d5704b5374109a1e913a9479c0d05734e3050ee729d8" dmcf-pid="U3QF50o9kX" dmcf-ptype="general">애플의 AI 플랫폼 애플 인텔리전스는 6개월 늦게, 메타의 스레드는 5개월 늦게 유럽 시장에 들어왔다. 구글의 ‘AI 오버뷰’는 10개월 지연됐다. 아이폰 미러링, 쉐어플레이와 같은 기능은 여전히 유럽 내에서는 제공되지 않는다.</p> <p contents-hash="b45d179c0c3e96ee051f0644ab18436aa123eed551692c36e2b653a859da93c4" dmcf-pid="u0x31pg2gH" dmcf-ptype="general">소비자 불편도 늘었다. </p> <p contents-hash="45bbd127a86a8ee0eeac0c76c1782dba1b55c570ea4e240639ee933c2106a48b" dmcf-pid="7pM0tUaVoG" dmcf-ptype="general">구글은 검색 결과에서 지도 서비스 자동 연결을 제거해 단일 클릭이 다중 클릭으로 바뀌었고, 애플은 서드파티 앱스토어 설치를 허용하면서 포르노 앱이 확산되는 보안 문제가 생겼다. 시스템 상호운용성 의무는 알림·와이파이 기록 등 민감 정보 노출로 이어지며 프라이버시 침해 논란을 불렀다. ‘소비자 보호’라는 규제 명분과 달리 보안 위협과 서비스 품질 저하가 현실로 나타난 것이다.</p> <p contents-hash="1ff772b6bfc57dcd676d804ca1a90a440b4a81cee42d0801253634a9365ce7ad" dmcf-pid="zURpFuNfoY" dmcf-ptype="general"><strong>경제 전반에 파급..."한국, 타산지석 삼아야"</strong></p> <p contents-hash="886f8f176808697610844ee75b28bede205211358d3b1321371e8936ac643821" dmcf-pid="queU37j4AW" dmcf-ptype="general">DMA는 경제에도 적잖은 충격을 주고 있다. </p> <p contents-hash="9806e29683a49c0c4e80d9ae96f0f545830dc3bdd57e77dbfb4c77561f6b75b0" dmcf-pid="B7du0zA8Ny" dmcf-ptype="general">보고서에 따르면 서비스 부문 매출 손실 규모는 최대 1천140억 유로(약 184조7천233억원), 전체 매출의 0.64%에 달한다. 숙박업과 소매업에서는 개인화 서비스 축소, 검색 가시성 저하 등으로 근로자 1인당 연간 최대 3천500유로(약 567만원)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추산된다.</p> <p contents-hash="ca4de176796ca637c8d4c3d3f9072b4400469874bd977cd22d39f72d64e8164b" dmcf-pid="bzJ7pqc6gT" dmcf-ptype="general">특히 중소기업의 어려움이 크다. 이미 GDPR 준수를 위해 상당한 비용을 지출한 상황에서, DMA로 인한 추가 규제 준수 부담이 더해져 경쟁력이 약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p> <p contents-hash="eac2c997f1157eac4daeb478062481d260dd4db59df8a0420799c63aa2da4744" dmcf-pid="KqizUBkPcv" dmcf-ptype="general">마리오 몬티 전 EU 경쟁위원장은 지난해 외신에서 “자국 기업 보호를 위한 규제가 국제적 저항을 불러올 수 있다”며 규제 중립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p> <p contents-hash="f8f06cb0336e33ceb85521492a2d746216ac8f396cc0c48c8c37f3b5aa4fe111" dmcf-pid="9BnqubEQaS" dmcf-ptype="general">이런 EU내 반응은 플랫폼 기업 규제를 추진 중인 한국에도 중요한 시사점을 던진다.</p> <p contents-hash="dab2333511276532d8269a210f9427c9f6dc77734cfbea322cfe427abd94d4e6" dmcf-pid="2bLB7KDxol" dmcf-ptype="general">한 연구원은 "성급한 정책 추진보다는 신중한 접근을 도모해야 한다"며 "규제 도입 전 디지털 생태계에 미칠 실질적 영향에 대한 면밀한 조사와 분석이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p> <p contents-hash="694fa2ef5fdae345e3b3815c2e6077fef608bbd473161dd861326cc703d1cc47" dmcf-pid="V9gKq2rRgh" dmcf-ptype="general">이어 "한국 고유의 플랫폼 생태계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시나리오별 비용 편익 분석이 필요하다"며 "<span>전면적 규제보다는 제한된 범위에서의 시범 운영을 통한 점진적 접근이 바람직하며 실제 효과 검증 후 </span><span>단계적 확대를 검토하고 다양한 시장 참여자 특히 업계와의 지속적 대화를 통한 정책 보완이 이뤄져야 한다"고 역설했다. </span></p> <p contents-hash="307be58928ca076c6b5b7243a44a0bd43bb604c6b56ecee4b060dfd4bec8f5f0" dmcf-pid="f2a9BVmeoC" dmcf-ptype="general">마지막으로 "<span>일방적 규제보다는 국제적 협력을 통한 표준 마련 참여를 우선시하고, 과도한 규제로 인한 혁신 저해를 </span><span>방지하면서도 합리적 소비자 보호의 균형점을 찾아야 한다"고 덧붙였다.</span></p> <p contents-hash="7c189f6af2cf3a7915c7b939bbbd1fcd9807df5f549ad6558e381903a7d0b947" dmcf-pid="4VN2bfsdjI" dmcf-ptype="general">안희정 기자(hjan@zdne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밴드 설·라쿠나, 협업곡 '키즈' 음원 발매 09-03 다음 [ETF Q&A] 파킹형 ETF에는 어떤 종류가 있나요? 09-03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