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2025 한글 국제 프레 비엔날레 개막…도시 전체가 미술관 작성일 09-04 4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FSdWfRTNUy">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feeb2b3e39de33034ac06331316dc24c256e102c2c8f7aaa44735b8a52100ec" dmcf-pid="3vJY4eyj0T"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2025 한글 국제 프레 비엔날레’ 개막식 현장"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4/sportsdonga/20250904154851970aely.jpg" data-org-width="1000" dmcf-mid="51xUnc0C3G"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4/sportsdonga/20250904154851970aely.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2025 한글 국제 프레 비엔날레’ 개막식 현장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0810baf17dc6affc4c19dbe995ff7641ab6e0695536c6381000b450ca254111e" dmcf-pid="0J0oYFnbUv" dmcf-ptype="general"> 세종시 전체가 한글 미술관으로 변신했다. ‘2025 한글 국제 프레 비엔날레’가 막을 올리며 42일간의 대장정을 시작했다. </div> <p contents-hash="d0eec7f480ad72a217e7751c91bd637bf5484ccb1f3e0be8020642151f0e66f5" dmcf-pid="pipgG3LK7S" dmcf-ptype="general">세종특별자치시(시장 최민호)와 세종시문화관광재단(대표 박영국)이 주최하는 이번 행사는 9월 3일 조치원 1927아트센터에서 개막식을 열고 본격적인 여정을 알렸다. 행사에는 최민호 세종시장, 박영국 세종시문화관광재단 대표, 임채성 시의회 의장, 강정원 국립한글박물관장, 파블로 셰이너 주한 우루과이 대사, 이종국 한국국제교류재단 이사 등 주요 인사와 참여 작가, 시민 350여 명이 참석해 성황을 이뤘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c6c4aea27d7adf7ad7fbd12ce1081e67bcbb1740bfd73b96da457377d5b8a95f" dmcf-pid="UnUaH0o90l"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미스터 두들 라이브 드로잉 현장 사진 "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4/sportsdonga/20250904154853276fkfo.jpg" data-org-width="1500" dmcf-mid="1RJBNrzTuY"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4/sportsdonga/20250904154853276fkfo.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미스터 두들 라이브 드로잉 현장 사진 </figcaption> </figure>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4c56ab86870e5a0e77c0f6ff52fbf8be7f0c2149b3b64437b6dff850b0e168f0" dmcf-pid="uLuNXpg2zh"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빠키 신작 전시 현장 사진 "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4/sportsdonga/20250904154854602tgas.jpg" data-org-width="1500" dmcf-mid="tFhoYFnbUW"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4/sportsdonga/20250904154854602tgas.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빠키 신작 전시 현장 사진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ba0fe614f0f895cc6dabe0738cf0c656cc338481df1ff4665d195d5299ef22d4" dmcf-pid="7o7jZUaVzC" dmcf-ptype="general"> 영국 출신 드로잉 아티스트 미스터 두들의 대형 라이브 드로잉은 높이 4m, 너비 20m 규모로 영국 외 최대 작품으로 꼽히며 눈길을 끌었다. 이어 빠키 작가의 미디어아트와 디제잉 퍼포먼스가 애프터파티를 장식하며 관람객의 환호를 받았다. </div> <p contents-hash="194f7ec96a37956168116a297ac6ff8876b055c0a6fe7ac4a2e2e5683dcde82e" dmcf-pid="zgzA5uNfuI" dmcf-ptype="general">특별전에서는 한국국제교류재단과 협력해 강익중, 구본창, 라 레콘키스타 등 국내외 작가들의 설치·미디어아트 작품이 전시되고 있다. 구본창 작가는 단청 이미지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미디어아트를, 강익중 작가는 대형 미디어 설치작품을 선보여 주목받고 있다.</p> <p contents-hash="c3a850b5306bf7722c1ead4a4bd6dc360d975f118b39ade9bc01fcf3069d8d6b" dmcf-pid="qaqc17j4pO" dmcf-ptype="general">전시는 조치원읍 학사동, 산일제사, 북세종 상생문화지원센터, 박연문화관 등 도심 전역에서 무료로 즐길 수 있다. 이와 함께 국립한글박물관 기획전 ‘오늘의 한글, 세종의 한글’, 세종미술주간 ‘갤러리 가는 날’도 연계 진행된다. 기획전은 훈민정음 창제 정신을 조명하며, 세종미술주간에는 11개 갤러리가 참여해 회화, 조각, 사진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과 도슨트 투어, 아트마켓, 공예·캘리그래피 체험이 마련된다.</p> <p contents-hash="3d85abd49e1d2f3cb479a8798ec273bf71c9f4fe7d1e356c34fbc6fa20af3979" dmcf-pid="BJ0oYFnbps" dmcf-ptype="general">박영국 세종시문화관광재단 대표는 “올가을 세종은 도시 전체가 예술의 무대가 된다”며 “국제 전시와 지역 미술, 한글의 역사와 미래가 어우러지는 이번 행사를 통해 세종이 세계와 소통하는 한글문화도시, 생활 속 예술도시로 자리매김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1f9a1b2afd6bce4294e153eb10b6a971c420b7cc7ff820a678dad1f658bf1f12" dmcf-pid="bipgG3LKzm" dmcf-ptype="general">양형모 기자 hmyang0307@donga.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스포츠동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박학기 딸 박정연, SM 루키즈 거쳐 라이징스타로 “연예인 집안 성장통 겪어” (트라이)[EN:인터뷰③] 09-04 다음 이미주 “헷갈리게 하는 남자 있으면 먼저 고백” 사랑에 적극적(컬투쇼) 09-04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