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th Science, We Live’ 스피어엑스의 발견 작성일 09-04 6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qsfYNVmeuE">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a8c7128cd489e3dd2e884558f5ee883cf90cc7536e6f3f6d70856fa877a6ced" dmcf-pid="BO4Gjfsdzk"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아리랑TV ‘With Science, We Live’"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4/sportskhan/20250904191915185vevk.jpg" data-org-width="1200" dmcf-mid="UXPwPFnb7m"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4/sportskhan/20250904191915185vevk.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아리랑TV ‘With Science, We Live’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d40ef2550dc10d449a4482e5b2de9b7c2c0ed9f6c2e6f8db0ffd5ed518cce23e" dmcf-pid="bmVWa2rRFc" dmcf-ptype="general"><br><br>지난 2일 방송이 된 아리랑TV ‘With Science, We Live’ 열 번째 에피소드 ‘스피어엑스의 발견’에서는 양유진 한국천문연구원 책임연구원이 지난주에 이어 NASA 주도 국제 협력 프로젝트인 스피어엑스(SPHEREx)에 대해 김청아(대한민국), 애런(Aron/미국), 메간(Megane/프랑스), 비스(BIZYR/태국) 등 글로벌 수강생들에게 심층적으로 강연을 했다.<br><br>지난 9회에서는 발사 과정과 한국 연구진의 도전 정신을 소개했다면, 이번 방송에서는 스피어엑스가 가진 과학적 의미와 첨단 기술을 집중 탐구한다.<br><br>양유진 한국천문연 책임연구원은 “스피어엑스는 단순한 망원경이 아닌, 우주를 102가지 색으로 분석하는 첨단 장치”라며 “이 데이터를 활용해 세계 최초의 3차원 우주 지도를 제작할 것”이라고 설명했다.<br><br>높이 2m가 넘는 소형 망원경이지만 6개월마다 전 하늘을 스캔해, 2년 반 동안 네 차례 반복 관측으로 완전한 우주 지도를 완성한다. 그는 “제임스 웹이 작은 부분을 현미경처럼 들여다본다면, 스피어엑스는 하늘 전체를 펼쳐놓는 스케치북 같다”라고 비유했다.<br><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123c7da111e816723872b349825b578b2a9d6920fc06d7c613625906c9ad33a6" dmcf-pid="KsfYNVmeFA"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아리랑TV ‘With Science, We Live’"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4/sportskhan/20250904191916681pxrt.jpg" data-org-width="1200" dmcf-mid="utAHA4OJpr"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4/sportskhan/20250904191916681pxrt.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아리랑TV ‘With Science, We Live’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d12bc8fa6d6072b8667fdcca2b3898a9bc4b9d6929e24bb2ddef43fcb3281f53" dmcf-pid="9O4Gjfsd0j" dmcf-ptype="general"><br><br>스피어엑스에는 한국 연구진이 개발한 극저온 진공 챔버와 파장을 나누는 독특한 필터 기술이 적용됐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미국 개발이 늦어지던 시기에도, 한국은 약속한 장비를 제때 납품해 국제 협력의 신뢰를 지켰다.<br><br>양유진 책임연구원은 “이번 임무는 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의 본질을 밝히고 초기 우주가 어떻게 구조화되었는지 탐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며 “우주의 비밀을 풀어낼 열쇠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br><br>스피어엑스가 찍는 사진은 우리가 보는 컬러 사진과 다르게 별빛 속, 숨어 있는 ‘얼음의 지문’을 찾아내는 것이다. 물이나 이산화탄소 얼음은 특정 색에서만 흔적을 남기는데, 이를 통해 별 주변의 행성이 어떻게 태어나고 있는지 추적할 수 있다. 직접 생명체를 찍을 수는 없지만, “생명이 태어날 수 있는 조건”을 좁혀주는 셈이다.<br><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1a19a3d1988b1c8d46a7db84f9edf542f3c5a661659968726cc16a8f01292178" dmcf-pid="2I8HA4OJ0N"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아리랑TV ‘With Science, We Live’"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4/sportskhan/20250904191918033oyiu.jpg" data-org-width="1200" dmcf-mid="70oToKDx0w"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4/sportskhan/20250904191918033oyiu.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아리랑TV ‘With Science, We Live’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90739655be9b9e62267b3579102d5602d0d345dc7dddad4e69d7215b5f7f0020" dmcf-pid="VC6Xc8Ii7a" dmcf-ptype="general"><br><br>임무 기간 촬영되는 300만 장 이상의 데이터는 전 세계 연구자와 일반인 모두에게 공개된다. 교육기관은 물론 일반 시민도 활용할 수 있어, 우주 과학의 대중화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br><br>양 책임연구원은 “우주 데이터는 인류 모두의 자산이며, 공개 데이터가 과학 발전을 가속화한다”라고 덧붙였다.<br><br>아리랑TV ‘With Science, We Live’는 아리랑TV를 통해 매주 화요일 오후 3시에 방송되며, 아리랑TV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도 시청할 수 있다.<br><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9bb542c58383076143eb149ca718d631630626ab9093ed3c9f82e5bcd3d076e" dmcf-pid="fhPZk6Cnzg"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아리랑TV ‘With Science, We Live’"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4/sportskhan/20250904191919368ldpk.jpg" data-org-width="1200" dmcf-mid="zkfYNVme7D"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4/sportskhan/20250904191919368ldpk.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아리랑TV ‘With Science, We Live’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8693db5c06ff6dcf5f3f2b5b7ca4f4adec1d426f17c2a893257a5bb2ef0033b6" dmcf-pid="4lQ5EPhLpo" dmcf-ptype="general"><br><br>손봉석 기자 paulsohn@kyunghyang.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스포츠경향.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MC몽, '1년 전 사진 끌올' 이다인 저격에 "너처럼 가족 버리는 짓 하겠니?" 09-04 다음 하원미, 추신수 '짧은 치마' 취향 폭로…"사람들이 쳐다봐도 좋다고" 09-04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