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정신의학회 신문 “‘케데헌’ 루미 문양, 우울증→성소수자 상징할 수도” 분석 작성일 09-05 1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Gtx5TjFOvf">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73527597ca7a80947e5723785111e8a98c63800032a4eaebd2a49873fd4716a" dmcf-pid="HFM1yA3IyV"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넷플릭스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5/newsen/20250905173826914lvjr.jpg" data-org-width="650" dmcf-mid="WQBhDMvay8"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5/newsen/20250905173826914lvjr.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넷플릭스 제공 </figcaption> </figure>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044ad5eaac389f6214e3e9bb6a5cca3f86ed8497187da0bf4cb25f6c5b5cc3a" dmcf-pid="X3RtWc0Ch2"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나종호 소셜미디어 / 미정신의학회 신문"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5/newsen/20250905173827106wwlh.jpg" data-org-width="640" dmcf-mid="YsYoMuNfC4"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5/newsen/20250905173827106wwlh.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나종호 소셜미디어 / 미정신의학회 신문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0d795dbb148cc6da6945e32139d917fa17c544ab49126ff96dc5e3496d754028" dmcf-pid="Z0eFYkphv9" dmcf-ptype="general"> [뉴스엔 박수인 기자]</p> <p contents-hash="b7f042f66067e25b657738e47db66efd2aef3a1f7d70e2fcb412b5b2cd707bf7" dmcf-pid="5pd3GEUllK" dmcf-ptype="general">미국 예일대학교 의과대학 정신의학과 나종호 교수가 미정신의학회 신문에서 분석한 '케이팝 데몬 헌터스' 관련 기사를 공유했다.</p> <p contents-hash="3d62a9f4e0bcd44c3c4cd8ac9a5120dc6ceb6b0edba0df4f0365e81bd9696884" dmcf-pid="1UJ0HDuSvb" dmcf-ptype="general">나종호 교수는 9월 5일 개인 소셜미디어에 미정신의학회 신문(Psychiatric News)에 실린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 관련 기사 전문 캡처를 게재했다.</p> <p contents-hash="437a2c0194ee611869d078f46cefd6bff72f29616f7571c4fff6c4cb9590a5da" dmcf-pid="tzLu5mqyhB" dmcf-ptype="general">나 교수는 "미정신의학회 신문(Psychiatric News) '케데헌'(케이팝 데몬 헌터스) 분석글"이라고 알리며 "여름에 조금만 덜 바빴더라면 저도 기고했을텐데 아쉽네요"라고 기고하지 못한 아쉬움을 털어놨다.</p> <p contents-hash="70e7c053943cc0d41c8c19a18b5388bb8cc24afd743c446cda9f709194334cbd" dmcf-pid="Fqo71sBWTq" dmcf-ptype="general">나 교수의 글에 따르면, 해당 기사의 필자는 “(영화의) 배경이 한국이라는 설정은 더 깊은 감정적 울림을 줍니다. 많은 아시아 문화권에서는 정신 질환이 여전히 도덕적 문제로 치부되며, 개인의 인격이나 가족의 실패로 여겨지곤 합니다. 아시아계 미국인들의 정신 건강 서비스 이용률은 여전히 현저하게 낮습니다. 루미의 문양은 우울증, 성소수자, 트라우마, 신경다양성, 혹은 다인종 정체성을 상징할 수도 있습니다. 수치심은 보편적 감정입니다. 타인을 보호하기 위해 수치심을 묻어둘 때, 그 대가는 스스로가 치르게 되죠"라고 분석했다.</p> <p contents-hash="3b58d73de9622f8b764b53a4ec657d689b49b108f0a9fc28254b17d12afc8756" dmcf-pid="3BgztObYSz" dmcf-ptype="general">이어 "임상 현장에서 우리는 많은 ‘루미같은’ 이야기를 만납니다. 자신의 ‘문양’—트라우마, 성적정체성, 슬픔, 질병—이 쌓아온 삶을 무너뜨릴까 두려워하는 젊은이들 말입니다. 그들은 완벽주의나 성취로 고통을 감추지만, 수치심은 침묵 속에서 더 크게 자라납니다"라며 "임상가들에게 주는 메시지는 분명합니다. 가장 강력한 개입은 진단이나 처방에서 시작되는 것이 아니라, 누군가가 온전히 이해받을 수 있는 ‘안전함’을 만들어주는 데서 시작된다는 것이죠. 또한, 치유는 수치심을 칼로 베는 데서 오는 것이 아니라, 수치심을 노래로 바꾸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는 사실도요"라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7f9dc350da499e2e0de7702a29d8a9c2ebf9c1fce49541a815873a9d7575141a" dmcf-pid="0baqFIKGC7" dmcf-ptype="general">한편 '케이팝 데몬 헌터스'는 케이팝 슈퍼스타인 ‘루미’, ‘미라’, ‘조이’가 화려한 무대 뒤 세상을 지키는 숨은 영웅으로 활약하는 이야기를 담은 액션 판타지 애니메이션. 지난 6월 20일 공개 이후 전 세계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p> <p contents-hash="c83403aee966e520d64c20d4b751d33723e0530e63a1975dfe161b40773b914f" dmcf-pid="pKNB3C9HTu" dmcf-ptype="general">뉴스엔 박수인 abc159@</p> <p contents-hash="1870c6daf268846452e4e22efb7f925c0339225faf061e09e9ecea770e3015e7" dmcf-pid="U9jb0h2XyU" dmcf-ptype="general">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en@newsen.com copyrightⓒ 뉴스엔.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뉴스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해리 스타일스, '전 여친' 테일러 스위프트 절친과 열애 확정.."뉴욕 데이트" [Oh!llywood] 09-05 다음 원더걸스 선미, SM 외모짱 출신‥김재중 “소녀시대로 데뷔했을 수도” 상상(재친구) 09-05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