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리창이 태양광 발전기로 변신…마법의 투명 코팅 개발 작성일 09-07 28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중국 난징대학 연구진 개발</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zROirQEQkv"> <p contents-hash="22ea35cc46eb4f0e5171709a4630165a2b6d6a53f877831217591d58cc968001" dmcf-pid="qeInmxDxkS" dmcf-ptype="general">(지디넷코리아=이정현 미디어연구소)중국 연구진이 일반 유리창에 직접 코팅해 창문의 외관을 바꾸지 않고도 태양광을 모을 수 있는 투명한 태양광 집광기를 개발했다고 과학전문매체 인터레스팅엔지니어링이 최근 보도했다.</p> <p contents-hash="8929431a779a409ce283fe5bf92452564c930b0259b257cba78262e74cd8ad51" dmcf-pid="BdCLsMwMNl" dmcf-ptype="general">중국 난징 대학 연구진이 개발한 이 혁신적 기술은 콜레스테릭 액정(cholesteric liquid crystal, CLC)의 다층 구조를 활용한 것으로, 관련 논문은 광학 분야 국제학술지 ‘포트닉스(PhotoniX)’에 게재됐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02b089c604cf26bcc7efa23ffa876197d43a329340f5569f5d42fc5501e7dde" dmcf-pid="bJhoORrRoh"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이 태양광 집광기는 액정 필름을 사용해 햇빛을 선택적으로 유도해 창문 가장자리에 설치된 태양광 전지로 전달한다. (출처=중국 난징대학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7/ZDNetKorea/20250907070614452wxwe.jpg" data-org-width="640" dmcf-mid="HVInmxDxA3"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7/ZDNetKorea/20250907070614452wxwe.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이 태양광 집광기는 액정 필름을 사용해 햇빛을 선택적으로 유도해 창문 가장자리에 설치된 태양광 전지로 전달한다. (출처=중국 난징대학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71bb73e196cc012038633cda29becdb6b12920a56de6d6db8dc4acd6ab59277b" dmcf-pid="KTbGzlUljC" dmcf-ptype="general">연구진에 따르면, 이번에 개발된 독창적인 회절형 태양열 집광기(CUSC)는 태양빛을 선택적으로 유도해 창문 가장자리에 설치된 태양광 전지로 전달한다.</p> <p contents-hash="9c3a2a808d0d2d881ee1132a199ecd1c730a1a6f276c29b9411bd7779fc22b97" dmcf-pid="9yKHqSuScI" dmcf-ptype="general">해당 연구의 제1저자인 드웨이 장 박사는 "콜레스테릭 액정 필름의 구조를 정밀하게 설계해 원형 편광을 선택적으로 회절시키고, 이를 가파른 각도로 유리 도파관 내부로 유도하는 시스템을 만들었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b34c59f9c06a0a1807fa229a2162728db67857e9e4d5641144b5d79f2fb7112b" dmcf-pid="2W9XBv7vAO" dmcf-ptype="general"><strong>효율적인 에너지 수확</strong></p> <p contents-hash="5290b32c56977a6601f069973cdbc896c0d591bba9e9b325c64116d7c0d8cbe6" dmcf-pid="VY2ZbTzTAs" dmcf-ptype="general">기존 태양광 집광기들은 시각적 왜곡, 낮은 효율, 확장성 부족 등의 한계가 있었으나, 새로운 CUSC는 광대역, 편광 선택적 회절, 효율적인 광파 유도를 구현해 완전한 시각적 선명도를 유지한다.</p> <p contents-hash="6d7f084b90271b3f1f31714016d6263a4be0eba35f36a30bd4b7e56967319e2b" dmcf-pid="fGV5Kyqyjm" dmcf-ptype="general">장 박사는 이 장치가 평균 약 64.2%의 높은 가시광 투과율과 91.3%의 색 재현 지수를 달성한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입사된 녹색광 에너지의 최대 38.1%를 창문 가장자리에서 수집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b5bb0cf8106f1de21ecfaa1ed2531106f627977711fe0c26d1b42a7b11cf8532" dmcf-pid="4Hf19WBWjr" dmcf-ptype="general">이러한 광학적 특성 덕분에 이 코팅은 청정 에너지를 생성하면서도 유리창의 투명하고 자연스러운 외관을 유지해 일반 창문과 시각적으로 구분되지 않는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9de8947d578f971e2cf674a53132e4fd1e06343484eae59dd9e09db50c5f6819" dmcf-pid="8X4t2YbYaw"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사진=클립아트코리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7/ZDNetKorea/20250907070615713cowb.jpg" data-org-width="640" dmcf-mid="7VFI5EHEgT"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7/ZDNetKorea/20250907070615713cowb.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사진=클립아트코리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b21b4d96e3f6c86e2bb05a0e0a4a80695e0131583c999e78ddd32ca8417d741c" dmcf-pid="6Z8FVGKGAD" dmcf-ptype="general">연구진은 또한 이 시스템의 뛰어난 확장성에 주목했다. 시뮬레이션 결과, 너버 2m 너비 CUSC 창문은 태양광을 최대 50배까지 집중시켜 에너지 수집 능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p contents-hash="3e38a253dae1df1a5ea59455d01a84b2ac74de0e3a93fc9af6ee109b30d3dce3" dmcf-pid="P563fH9HNE" dmcf-ptype="general">이러한 성능은 태양광 전지의 필요 면적을 최대 75%까지 줄이고, 재료 비용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향후 에너지 효율적인 건축물 설계를 위한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 줄 것으로 기대된다.</p> <p contents-hash="1b343931367061f32ff54fa94539f49738eac8bf1e820046137f5fdc85b20b57" dmcf-pid="Q1P04X2Xak" dmcf-ptype="general"><strong>향후 과제는?</strong></p> <p contents-hash="366a4c1fb09fdcdf54b4d04eb05d863da4a57c298b3c7765288dc2c442181fbf" dmcf-pid="xtQp8ZVZcc" dmcf-ptype="general">실험 결과, 폭 약 2.5cm의 시제품은 실제 야외 햇빛 조건에서 10밀리와트(mW) 팬에 직접 전력을 공급할 수 있었다. 이 시스템은 갈륨비소(GaAs)와 같은 고성능 태양광 전지와도 호환된다.</p> <p contents-hash="201f96c47b12d2a49e1df65821201f500e8e77a7e5c031774706344ffb4121a1" dmcf-pid="yoTjliIijA" dmcf-ptype="general">이번 연구의 책임저자인 난징대학 컴퓨터 과학·기술 교수 웨이 후는 "CUSC 설계는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 태양광 기술을 건축 환경에 통합하는 데 있어 중요한 진전을 이뤘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ba76a22c96b84985079b3f0a866f6629a303a9af9c41810073eb819678e165d5" dmcf-pid="WgyASnCnAj" dmcf-ptype="general">또한, 이 소재는 장기간의 노출에도 안정성을 유지하며 기존 창호 구조에도 완벽하게 적용될 수 <span>있다.</span></p> <p contents-hash="9ab02dd7ef549c531787cdef256b3ac48275292617f0efcd74ac10a6062d7a33" dmcf-pid="YaWcvLhLaN" dmcf-ptype="general">연구진은 향후 이 기술의 광대역 효율과 편광 제어를 개선할 계획이며, 농업용 온실이나 투명 태양광 디스플레이 등 건축 외의 다양한 응용 분야로 확장하는 방안을 모색 중이다.</p> <p contents-hash="43cac4eabb2ee0916375cb2e525975d8bf91c93c22435be06a302b2f8b961ec5" dmcf-pid="GJhoORrRca" dmcf-ptype="general">이정현 미디어연구소(jh7253@zdne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IFA 2025] 韓中日 RGB LED TV, 세계 프리미엄 시장 '빅매치' 09-07 다음 사발렌카, US오픈 테니스 단식 2연패 달성…메이저 4회 우승 09-07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