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랜드슬램 100승 '사발렌카', 아니시모바 이기고 US오픈 2연패 작성일 09-07 31 목록 <strong class="media_end_summary">[2025 US오픈 테니스 여자단식 결승] 아리나 사발렌카 2-0 아만다 아니시모바</strong>직전 메이저대회인 윔블던 챔피언십 4강에서 아니시모바가 사발렌카를 2-1로 이겼기 때문에 이번에도 그 기세가 이어지며 아니시모바에게 첫 그랜드 슬램 우승 영광이 찾아올 것만 같았다. 하지만 최근 46주 동안 세계랭킹 1위를 지키고 있는 아리나 사발렌카는 더이상 약세를 보이지 않겠다는 굳은 의지로 탄탄한 게임 운영 능력을 자랑했다. 롤랑 가로스와 윔블던 우승 기록은 없지만 개인 통산 네 번째 그랜드 슬램 타이틀을 들어올리는 이유가 분명한 결승이었다.<br><br>여자 테니스 단식 세계랭킹 1위 아리나 사발렌카(벨라루스)가 한국 시각으로 7일 오전 5시 15분 미국 뉴욕에 있는 빌리진킹 내셔널 테니스 센터 아서 애시 스타디움에서 벌어진 2025 US 오픈 테니스대회 여자단식 결승에서 아만다 아니시모바(미국, 9위)를 1시간 34분만에 2-0(6-3, 7-6)으로 물리치고 지난 해에 이어 2년 연속 우승의 감격을 누렸다.<br><br><strong>챔피언십 포인트 '사발렌카'가 쏟아낸 눈물</strong><br><br>최근 메이저대회 준우승의 한을 풀어낼 수 있는 두 선수의 만남이어서 더 흥미로운 결승 무대였다. 부동의 랭킹 1위 아리나 사발렌카는 이번 시즌 메이저 대회 준우승만 두 번(호주 오픈, 롤랑 가로스)이었고, 아만다 아니시모바는 윔블던 챔피언십에서 준우승의 분루를 삼켰기 때문이다.<br><br>여기 출발은 사발렌카가 좋았다. 얼리 브레이크에 성공해 첫 세트 2-0으로 앞서나가기 시작한 것이다. 덕분에 사발렌카는 첫 세트를 6-3으로 가볍게 따낼 수 있었다. 세트 포인트는 서브 포인트였다. 서브 에이스(사발렌카 1개, 아니시모바 4개) 기록을 제외한 여러가지 서브 관련 기록에서 사발렌카가 아니시모바를 압도한 게임이었다.<br><br>그리고 이어진 두 번째 세트 세 번째 게임에서 사발렌카가 브레이크 포인트 기회를 만들고 완성시키는 과정을 통해 분명한 우승 자신감을 읽을 수 있었다. 네트 앞으로 달려가며 뿌린 백핸드 드롭샷은 물론 몸 중심이 뒤로 넘어가면서도 때린 백핸드 다운 더 라인 위너는 관중 모두의 탄성을 이끌어내기에 충분했다.<br><br>이대로 물러설 수 없었던 아니시모바도 2세트 열 번째 게임에서 5-5를 만들 때 코트 양쪽 구석을 찌르는 스트로크 위력을 보여주기도 했다. 하지만 타이 브레이크에서 사발렌카의 집중력이 더 돋보였다. 7-3으로 끝난 타이 브레이크 챔피언십 포인트도 사발렌카의 서브 포인트였다.<br><br>아니시모바의 백핸드 리턴이 아슬아슬하게 옆줄 밖에 떨어진 것을 확인한 사발렌카는 그대로 파란 코트에 주저앉아 한동안 눈물을 쏟았다. 지난 해 이 대회 우승 이후 메이저 대회 우승 기록 없이 준우승만 두 번 했으니 오랫동안 세계 랭킹 1위를 지켜오는 과정에서 심리적 압박이 더 컸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는 장면이었다.<br><br>이로써 아리나 사발렌카는 서리나 윌리엄스(US오픈 우승 6회, 2012~2014년 3년 연속 우승) 이후 이 대회에서 오랜만에 2년 연속 챔피언 트로피를 들어올린 최고 실력자로 인정받은 셈이다. 아울러 그랜드 슬램 본선 100승이라는 놀라운 기록도 추가했다.<br><br>반면에 아만다 아니시모바는 이 대회 최고 성적이 2020년 3라운드(32강) 진출이었는데, 올해 윔블던 챔피언십과 US 오픈 두 대회 연속 준우승이라는 발자취를 찍어내며 여자 테니스계의 새로운 실력자로 발돋움했다. 앞으로 두 선수의 스트로크 대결이 더 눈에 띌 것으로 보인다.<br><br><span class="cssFont" style="color:#333399;"><strong>2025 US 오픈 테니스 여자단식 결승 결과</strong></span><br><span class="cssFont" style="color:#333399;">(9월 7일 오전 5시 15분, 빌리 진 킹 내셔널 테니스 센터 아서 애시 스타디움-뉴욕)</span><br><br><span class="cssFont" style="color:#333399;">★ <strong>아리나 사발렌카 2-0</strong>(6-3, 7-6{TB 7-3}) <strong>아만다 아니시모바</strong></span><br><br><span class="cssFont" style="color:#333399;">◇ <strong>주요 기록 비교</strong></span><br><span class="cssFont" style="color:#333399;">서브 에이스 : 사발렌카 1개, 아니시모바 4개</span><br><span class="cssFont" style="color:#333399;">더블 폴트 : 사발렌카 2개, 아니시모바 7개</span><br><span class="cssFont" style="color:#333399;">첫 서브 성공률 : 사발렌카 65%(45/69), 아니시모바 58%(38/66)</span><br><span class="cssFont" style="color:#333399;">첫 서브로 포인트 성공률 : 사발렌카 60%(27/45), 아니시모바 58%(22/38)</span><br><span class="cssFont" style="color:#333399;">세컨드 서브로 포인트 성공률 : 사발렌카 63%(15/24), 아니시모바 36%(10/28)</span><br><span class="cssFont" style="color:#333399;">네트 포인트 성공률 : 사발렌카 75%(3/4), 아니시모바 50%(2/4)</span><br><span class="cssFont" style="color:#333399;">브레이크 포인트 성공률 : 사발렌카 83%(5/6), 아니시모바 57%(4/7)</span><br><span class="cssFont" style="color:#333399;">리시빙 포인트 성공률 : 사발렌카 52%(34/66), 아니시모바 39%(27/69)</span><br><span class="cssFont" style="color:#333399;">위너 포인트 : 사발렌카 13개, 아니시모바 22개</span><br><span class="cssFont" style="color:#333399;">언포스드 에러 : 사발렌카 15개, 아니시모바 29개</span><br><span class="cssFont" style="color:#333399;">전체 포인트 획득 : 사발렌카 76개, 아니시모바 59개</span><br><br><span class="cssFont" style="color:#333399;">◇ <strong>US 오픈 여자 단식 최근 우승 선수</strong></span><br><span class="cssFont" style="color:#333399;"><strong>2024~2025년 아리나 사발렌카</strong></span><br><span class="cssFont" style="color:#333399;">2023년 코코 고프</span><br><span class="cssFont" style="color:#333399;">2022년 이가 시비옹테크</span><br><span class="cssFont" style="color:#333399;">2021년 엠마 라두카누</span><br><span class="cssFont" style="color:#333399;">2020년 오사카 나오미</span><br><span class="cssFont" style="color:#333399;">2019년 비안카 안드레스쿠</span><br><span class="cssFont" style="color:#333399;">2018년 오사카 나오미</span><br><span class="cssFont" style="color:#333399;">2017년 슬론 스테픈스</span><br><span class="cssFont" style="color:#333399;">2016년 안젤리크 케어버</span><br><span class="cssFont" style="color:#333399;">2015년 플라비아 페네타</span><br><span class="cssFont" style="color:#333399;"><strong>2012~2014년 서리나 윌리엄스</strong></span><br><span class="cssFont" style="color:#333399;">2011년 사만다 스토서</span><br><span class="cssFont" style="color:#333399;">2010년 킴 클리스터스</span><br> 관련자료 이전 한국 남자하키, 말레이시아 꺾고 아시아컵 결승 진출 09-07 다음 임윤아 아닌 연지영 상상 불가, 차진 연기에 빠져든다(폭군의 셰프) 09-07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