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이스버드]⑪ 발사체·위성 모두 보유한 한국 우주개발 이끄는 우주항공청 작성일 09-08 14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HhbWC5f5LB">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40020b3233a620f2799aedc4154b7290526e1c6a84ac7954d07eeb08a45360c5" dmcf-pid="XlKYh141dq"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우주항공청 굿즈를 착용한 어린이 우주 기자단. 동아사이언스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8/dongascience/20250908120143825dshn.jpg" data-org-width="680" dmcf-mid="VQByIZVZMx"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8/dongascience/20250908120143825dshn.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우주항공청 굿즈를 착용한 어린이 우주 기자단. 동아사이언스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a6421d145392e20333d7ce754f4e747be928632b781f6d268a24ee05db802460" dmcf-pid="ZS9Glt8tRz" dmcf-ptype="general"><span>[편집자 주] 동아사이언스가 발행하는 과학 잡지 <어린이과학동아>는 대한민국 미래 우주인을 발굴하고 어린이들에게 우주에 대한 꿈과 도전 정신을 심어주기 위해 2024년부터 ‘어린이 우주인 선발대회’를 주최합니다. 2024년 1656명의 초등학생이 50여 건의 우주 미션을 수행했고 최종 어린이 우주인으로 선발된 2명이 미국항공우주국(NASA)에 다녀왔습니다. 국내 주요 우주 기관과 기업을 탐방하며 미래 우주 인재로 성장하고 있는 우주새싹(space bud), 어린이 우주 기자단의 생생한 활동기를 연재로 소개합니다.</span></p> <p contents-hash="f1ce3da40c7a1b81fdfb3286f80d5290edc6b78a25e3613cbace0b6f1d6bd632" dmcf-pid="5v2HSF6FJ7" dmcf-ptype="general">“여러분처럼 우수한 미래 우주 인력이 모이면 우리나라 우주 산업도 크게 발전할 거예요.”</p> <p contents-hash="562047f20ed39215485347fc8b39a646c5d1c8b809e95a2bd6a9be6bd96106c1" dmcf-pid="1TVXv3P3nu" dmcf-ptype="general"> 어린이 우주 기자단과 만난 최승철 우주항공청(KASA) 우주항공문화인력양성과 과장이 강연을 시작하며 말했다. 지난 8월 25일 어린이 우주 기자단은 서울 서대문구 동아사이언스 본사에서 우주항공청에 관한 특별 강연을 들었다. </p> <p contents-hash="d9013391cfcc54637110ba1fae02a1cf77bbf2b2f6a5fc97cb7ff74164b6d55c" dmcf-pid="twpCDyqyMU" dmcf-ptype="general"> 우주항공청은 대한민국 우주항공 분야 기술 연구개발 및 정책 수립 등을 추진하기 위한 정부 기관으로 2024년 ‘우주항공청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출범했다. 우주항공 정책뿐만 아니라 우주수송, 인공위성, 우주과학탐사, 항공혁신 등 여러 부문에서 산업 육성과 진흥을 추진한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c0ee97ddd7dfd08574335b34289a5a2a98001552b918e392956940665974be76" dmcf-pid="FrUhwWBWMp"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최승철 과장의 강연을 듣고 있는 어린이 우주 기자단. 동아사이언스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8/dongascience/20250908120145072ynnm.jpg" data-org-width="680" dmcf-mid="YB0IETzTRK"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8/dongascience/20250908120145072ynnm.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최승철 과장의 강연을 듣고 있는 어린이 우주 기자단. 동아사이언스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e5322cc022fd43c1a8b94b3a081bc3a5976d871ccae400751b2ca11dc8f41f57" dmcf-pid="3mulrYbYL0" dmcf-ptype="general">최승철 과장은 먼저 대한민국 우주 항공 역사에 대해 설명했다. 최 과장은 “인류가 우주에 닿은 지는 100년이 채 안 됐고 우리나라도 1992년에야 처음으로 인공위성을 발사했다”며 “30년이 지나 2022년 다누리, 2023년 누리호 3차 발사에 성공했을 만큼 우리나라의 우주항공 기술은 짧은 시간 눈부시게 발전했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c79c8deee774779d75c06f71a3f4f0404ff6ed407022d4833d56cff2f5ad505e" dmcf-pid="0s7SmGKGR3" dmcf-ptype="general"><strong>● 다음은 최승철 과장과 어린이 우주 기자단의 일문일답.</strong></p> <p contents-hash="450ffa11ee217f57e79aacca77b0e386da7766b8578be5df5f7caed584902fcb" dmcf-pid="pOzvsH9HnF" dmcf-ptype="general"><strong>Q. 우주항공청은 어떤 일을 하는 곳인가.</strong></p> <p contents-hash="d2411f9a8ca4dc92be418d718fbb2030025bbee32f8f659694281988cf0d3ca2" dmcf-pid="UIqTOX2XMt" dmcf-ptype="general"> "우주항공 기술을 연구하고 인재를 양성하는 일에 더불어, 다양한 우주항공 기관을 지휘하는 역할을 한다. 우주항공 분야의 일은 정부 기관, 기업, 대학교 등 여러 곳이 함께 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상황에서 각 기관들과 협력하고 총괄하는 '오케스트라의 지휘자'와 같은 역할을 우주항공청이 맡는 거다. 또 새로운 발사체와 위성 개발, 우주인 양성, 달, 화성 탐사 등 미래 우주 산업도 담당하고 있다."</p> <p contents-hash="76112b869b90bfe537b92877361e50d5c4f408fd4178eb22eedf01cf2cac6d40" dmcf-pid="uCByIZVZe1" dmcf-ptype="general"><strong>Q. 우리나라는 어떤 우주 기술이 강한가.</strong></p> <p contents-hash="f76e4123cee31caaf968c6380dd26d3d410ba23ac82beb12b84868f2c6c30f5a" dmcf-pid="7hbWC5f5L5" dmcf-ptype="general"> "발사체를 잘 만든다. 누리호가 대표적이다. 이런 발사체를 만드는 기술이 있는 나라는 러시아, 미국, 프랑스, 일본 등을 비롯해 10개가 채 되지 않는다. 우리나라가 그중 하나다. 또 발사체에 실을 탑재체인 인공위성을 만드는 기술도 뛰어나다. 굉장히 많은 위성을 가지고 있다."</p> <p contents-hash="844d23e2fe216a802fd7172a618369fd2729a0ed165e1e80105fe9bbe99d7d3d" dmcf-pid="zlKYh141RZ" dmcf-ptype="general"><strong>Q. 2045년까지 달 기지를 건설할 계획, 이를 위한 핵심 기술은 무엇인가.</strong></p> <p contents-hash="3132460401c0865da6f8dc2b26c881f93318809573c84a19701a9ad866b6075c" dmcf-pid="qS9Glt8tRX" dmcf-ptype="general"> "많은 기술이 필요하지만 우선 달에 튼튼한 기지를 지을 수 있도록 적합한 재료를 확보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또 달 기지를 만들 건설 기술, 기지에 전기를 공급할 전력 생산 기술, 우주인들에게 필요한 산소와 수소 공급 기술, 우주 방사선 막아줄 차폐 기술, 지구와 원활하게 소통할 수 있는 통신 기술 등이 필요할 것이다."</p> <p contents-hash="f54af356ae5e13cde7e364b74992f2c009028fb679d684958102701665a6e835" dmcf-pid="Bv2HSF6FdH" dmcf-ptype="general"><strong>Q. 우리나라가 우주 강국이 되려면 앞으로 어떤 기술 개발이 가장 필요한가.</strong></p> <p contents-hash="d19684a9b58146436898bf456fb1c9cb8bd95965353df7e405df03724a29d85a" dmcf-pid="bTVXv3P3dG" dmcf-ptype="general"> "우주를 탐사하려면 굉장히 다양하고 복잡한 기술들이 필요하기 때문에 한 가지만 짚기는 어렵다. 발사체 하나에 들어가는 부품 수만 약 50만 개다. 이러한 부품 개발도 해야 하고, 발사체를 발사하는 데 드는 비용을 줄이기 위한 재사용 발사체 개발도 필요하다. </p> <p contents-hash="9f7e10c1c2b8ba56d056eed336c658217b6a91c01b46f0cd6517ed25e7d262b1" dmcf-pid="KyfZT0Q0nY" dmcf-ptype="general">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어린이 우주 기자단 같은 미래 인재들이다. 우주에 관심을 가진 어린이들이 자라서 우주항공 분야를 이끄는 인재가 된다면 지금보다 더욱 발전할 것이다."</p> <p contents-hash="f1b7bc6040eb444f3310e4f3803af180910a128902790f002b702b5407268c89" dmcf-pid="9W45ypxpiW" dmcf-ptype="general"> 강연이 끝난 뒤 최지인 어린이 기자는 “우주항공청이 미국항공우주국(NASA) 같은 기관이라는 것 외에는 아는 바가 없었는데 어떤 일을 하는지 깊이 있게 알게 됐다”고 소감을 밝혔다. </p> <p contents-hash="beeea853313a6ef08fc7559878f2b543b98a044b531a11cb90b04f40765787a6" dmcf-pid="2za27PkPdy" dmcf-ptype="general"> 또 “미래에 우주항공청 직원이 된다면 우리나라 우주비행 프로젝트를 직접 설계하고 추진하는 역할을 하고 싶다”며 “그 프로젝트를 통해 꼭 우주비행사가 되어 지구의 모습을 직접 바라보고 싶다”고 전했다.</p> <p contents-hash="372c6ac125c65f02d08c5109c676712160f3b6fa3fb6ad21000a33ef5617219a" dmcf-pid="VqNVzQEQJT" dmcf-ptype="general"> 한편 제2회 어린이 우주인 선발대회는 코오롱과 광주과학기술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우주항공청, 보령, 텔레픽스, 한국항공우주산업주식회사, KAIST 우주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등이 후원한다. 우수하게 미션을 수행한 최종 어린이 우주인은 오는 11월 NASA를 비롯한 미국 우주 기업 견학 및 취재 기회를 얻는다.</p> <p contents-hash="fc22b6c5d4caa63f1d80869235c8112c288a72709d8b1bbfdbdac251747a46c7" dmcf-pid="fBjfqxDxev" dmcf-ptype="general">'어린이과학동아'와 함께 다양한 우주 미션을 수행하고 최종 어린이 우주인에 도전하세요!</p> <p contents-hash="f1e4df31018ed88acc6c4b7fc2e63c95e7f633afc745808b147cdb48f62f8e30" dmcf-pid="4bA4BMwMnS" dmcf-ptype="general"><strong>▼어린이 우주 기자단 신청하기 </strong></p> <p contents-hash="d8f34d3fb3a068c556889107b8b39e15b76329177f45633039702bc1b750916d" dmcf-pid="8Kc8bRrRLl" dmcf-ptype="general">https://press.popcornplanet.co.kr/astronaut/intro</p> <p contents-hash="84ba3e8b4217be99f54fa444ae471e1afd60c5e25eaf1923b952e2476c5e4c90" dmcf-pid="69k6Kemedh" dmcf-ptype="general">[조현영 기자 4everyoung@donga.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동아사이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쯔양, 할머니 대식가 유전자 받아…"어릴 적 수제비 12인분" [RE:뷰] 09-08 다음 SGI 공격 랜섬웨어, 피해자 목록서 SGI 제외 왜? 09-08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