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과학은 실패의 시간"…소금쟁이 다리 규명 성과 작성일 09-09 13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사이언스 표지 논문 발표 고제성 교수·김동진 박사 인터뷰<br>"창의성 발휘엔 긴 시간 필요…도전적 연구 분위기 절실"</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f8nMFwZwXU">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c5489fb02a30eb7d1a5bbbcd76d6dfe9a6f3b758f8f0794b38751885ecb993f" dmcf-pid="46LR3r5rYp"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아주대 고제성 교수(오른쪽)와 김동진 박사후연구원 [아주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9/yonhap/20250909064647766ihax.jpg" data-org-width="1200" dmcf-mid="KSU1E4j41q"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9/yonhap/20250909064647766ihax.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아주대 고제성 교수(오른쪽)와 김동진 박사후연구원 [아주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3adf9257c9822e49c648edc6ee7cb3af504530c51380def6416e2b1f0ad9a30a" dmcf-pid="8Poe0m1mZ0" dmcf-ptype="general">(서울=연합뉴스) 조승한 기자 = 세계 최초로 소금쟁이가 물을 박찰 수 있게 하는 다리 구조의 원리를 밝혀낸 국내 연구진 논문이 지난달 22일 세계 최고 권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이례적으로 표지논문으로 실렸다.</p> <p contents-hash="4da08194e3b7cbf8378b16da66a0aa7f9fda1da88bc6fcb9a3f8ecfad33fd73d" dmcf-pid="6Qgdpsts13" dmcf-ptype="general">연구를 주도한 고제성(42) 아주대 기계공학과 교수와 논문 1 저자인 김동진(32) 아주대 박사후연구원은 7일 연합뉴스와 인터뷰에서 "5년 넘는 오랜 기간 수천 번의 시도 끝에 발견해낸 결과"라며 "기초연구에서 창의성을 발휘하는 데 오랜 기간이 걸린다는 걸 이해하고 도전적이고 창의적인 걸 요구하는 분위기가 많아졌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1aa7e63d262af1d16400c2e580956b8efad7673e2427607d66f241cb65636fcb" dmcf-pid="PxaJUOFOtF" dmcf-ptype="general">이번 연구는 소금쟁이과 곤충인 라고벨리아의 부채꼴처럼 벌어진 다리 구조를 로봇을 통해 구현해낸 것으로, 연구팀은 이를 통해 역으로 소금쟁이가 물의 강력한 표면장력을 이겨내는 자연 속 원리를 새롭게 밝혀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678607e4b3f5be1112e5a8b520448dd804e4f715576cf2a413fce0298717c86" dmcf-pid="QMNiuI3Itt"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세계 최초 소금쟁이의 기동원리, 초소형 로봇으로 구현 성공 (세종=연합뉴스) 배재만 기자 = 아주대학교 고제성 교수가 21일 정부세종청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자실에서 수면 위를 자유자재로 기동하는 곤충 라고벨리아(부채다리 소금쟁이)를 모사한 초소형 로봇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히고 있다. 이번 연구 성과는 세계 최고 권위의 학술지 사이언스에 표지 논문으로 게재됐다. 2025.8.22 scoop@yna.co.kr"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9/yonhap/20250909064647975sazd.jpg" data-org-width="1200" dmcf-mid="9oq0mQEQ5z"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9/yonhap/20250909064647975sazd.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세계 최초 소금쟁이의 기동원리, 초소형 로봇으로 구현 성공 (세종=연합뉴스) 배재만 기자 = 아주대학교 고제성 교수가 21일 정부세종청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자실에서 수면 위를 자유자재로 기동하는 곤충 라고벨리아(부채다리 소금쟁이)를 모사한 초소형 로봇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히고 있다. 이번 연구 성과는 세계 최고 권위의 학술지 사이언스에 표지 논문으로 게재됐다. 2025.8.22 scoop@yna.co.kr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001a981ff27d14d77a80ce0360fa2b271288e9703bf69c3c69bb07562a3c0d83" dmcf-pid="xRjn7C0CY1" dmcf-ptype="general">센 물살에서는 딱딱한 형상을 유지하면서 유연하게 접는 것도 가능한 모순적 형상을 찾아내야 했는데, 김 박사는 이를 위해 수주간 밤을 새우고 집에 들어가지 못하는 날도 많았다며 긴 연구 기간이 모두 '실패의 시간'이었다고 회고했다.</p> <p contents-hash="68005afc7211ee46979bcd31e69a2a97bd9a07f5aefdd30acc033b5ae43d77b3" dmcf-pid="yYp5kfNfH5" dmcf-ptype="general">그는 "무언갈 만드는 사람은 대부분 실패하고 마지막 한두 번을 성공한다"며 "실패를 만드는 데 시간을 제일 많이 썼고, 그게 쌓여야 왜 그런지를 이해한다. 새로운 원리를 규명하는 데 있어서 매우 많은 실패가 필요한 것"이라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9e5f86bff03e4fc3a4f288ce4f153ee2ef1c0cd2ee58c5b612b12431e045867e" dmcf-pid="WCXTLzdzHZ" dmcf-ptype="general">아주대에서 학사부터 석사, 박사까지 모두 졸업한 순수 국내파인 김 박사는 고 교수의 연구실에 첫 제자로 들어온 이후 내내 이 연구에 몰두할 수 있도록 여러 지원이 판을 깔아주는 역할을 했다고 했다.</p> <p contents-hash="712a4399b282874115af43f58e13a0418f105ae5189fabf98021ad1c5b20fe90" dmcf-pid="YhZyoqJqHX" dmcf-ptype="general">그는 "한국 과학 수준이 올라와 국내 대학에서도 좋은 교수님들이 많고, 오히려 학생에게 더 집중해줄 수 있는 분들이 많다고 생각한다"며 "젊은 교수님과 함께하면 충분히 좋은 결실을 볼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1db6217db2b99cf8afa269439758a222b7942cbd4a682c67025c97aaf4d53234" dmcf-pid="Gl5WgBiBGH"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연구실에서 소금쟁이 로봇 살피는 고제성 교수와 김동진 박사 [아주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9/yonhap/20250909064648172pkgr.jpg" data-org-width="1200" dmcf-mid="2PmcVYbY17"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9/yonhap/20250909064648172pkgr.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연구실에서 소금쟁이 로봇 살피는 고제성 교수와 김동진 박사 [아주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b505e7c55935efc7d8b04f49381ce99226be48753ada7041d2c63ebbd4255dee" dmcf-pid="HS1YabnbGG" dmcf-ptype="general">고 교수도 자연모사 분야 석학인 서울대 조규진 교수의 첫 제자로 대학원을 다니며 사이언스 논문을 쓰고 졸업했는데, 제자가 비슷한 길을 걷는 것을 지켜본 셈이 됐다.</p> <p contents-hash="8ca98d4140b24bce5ec578d589c8ba28e17c2b11cac26602becb1f8e1a38b178" dmcf-pid="XvtGNKLKHY" dmcf-ptype="general">고 교수는 "미래가 정해져 있지 않은데 지적 호기심을 따른다는 게 쉽지 않다"며 "믿음을 가지고 수행해 예상치 못한 결과를 얻었다"고 평가했다.</p> <p contents-hash="f7d07a82729b4434d6e5d7e5faa9b7c05a1c0448b3861f9cc91d02c47aaa78d3" dmcf-pid="ZTFHj9o91W" dmcf-ptype="general">김 박사는 학부를 다닐 때만 해도 안정적인 걸 기대하며 공기업을 준비했지만, 세상에 조금 더 의미 있는 일을 하면 좋겠다는 생각에 이공계 대학원 진학을 택했다고 했다.</p> <p contents-hash="2fd56b4bcc1b7c7a16d2040df74cf329871b53daba72d4d8c3d13c7b2035cf3d" dmcf-pid="5y3XA2g2Yy" dmcf-ptype="general">그러면서 그는 한국 사회가 '빠르고 정확할 것'을 요구하는데 이것이 창의성을 깨고 있다며, 특히 기초과학 분야는 이를 극복하기 위한 장기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bf2c9223972eb5212a25512527ed73fec3b629f41cd06e754895e5dbb97689be" dmcf-pid="1W0ZcVaV1T" dmcf-ptype="general">김 박사는 "5~6년이면 긴 시간인데, 창의성 발휘에 걸리는 시간이 길다는 걸 알고 기다려주신 게 좋은 결과로 이어졌다"며 "다른 분야도 무조건 빠르고 정확하기보다도 도전적이고 창의적인 걸 요구하는 분위기가 많아졌으면 좋겠다"고 전했다.</p> <p contents-hash="8a7ec547e730161de115c73d5cd279b438d53b02c30eb8872361e4fe587f2dc1" dmcf-pid="tYp5kfNfYv" dmcf-ptype="general">두 아이의 아버지기도 한 김 박사는 정부의 박사지원장려금 등을 통해 부족하지 않을 정도의 지원을 받은 점도 주요한 역할을 했다고도 했다.</p> <p contents-hash="9d71d9e8b890513241d9710c01a50882cd620804f8bb4e619104426e3dce5e6e" dmcf-pid="FGU1E4j4tS" dmcf-ptype="general">가족의 지원도 큰 힘이 됐다고 그는 덧붙였다.</p> <p contents-hash="790d6948e53e1d4aad421fdb942766563824bf588a54177734267a4dc3b2ff30" dmcf-pid="3HutD8A8Zl" dmcf-ptype="general">김 박사는 "아내도 대학 연구원인데, 신혼여행을 가서 로봇 디자인을 빨리하고 싶다고 했다가 아내한테 혼났던 적도 있다"며 "아버지는 카카오톡 소개 프로필을 사이언스 논문 표지로 해 두셨다"며 웃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10ae86baa6734bdb00869291898197479f537e647f9dfb94a6ea2a1cb065eb5" dmcf-pid="0KM4HjyjYh"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소금쟁이 로봇 설명하는 고제성 교수와 김동진 박사 [아주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9/yonhap/20250909064648341fbbn.jpg" data-org-width="1200" dmcf-mid="VaDNKTzTHu"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9/yonhap/20250909064648341fbbn.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소금쟁이 로봇 설명하는 고제성 교수와 김동진 박사 [아주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24932e60a12be80041c55f654fa14c4f3220b0f6e926d97006cee2696cc86200" dmcf-pid="p9R8XAWAHC" dmcf-ptype="general">로봇의 응용 분야에 관해 묻자 고 교수는 "이 로봇의 기능은 '과학적 규명'"이라며 기초연구는 경제적 성과보다도 과학적 사실을 발견하는 그 자체로 중요하다는 걸 강조했다.</p> <p contents-hash="5dc1abdc58a5c41604e9634608751f7ab367d67b49fd99f40256c7ab6fecf1cf" dmcf-pid="U2e6ZcYcXI" dmcf-ptype="general">인터뷰 말미 고 교수는 제자에게 "성공을 기다린 적은 없다"며 "99% 실패 해오는 시간이 하루하루 알아가는 것이고 그게 지식적으로 성공해온 것이고, 만약 나아지지 않았더라도 그 5년간의 지식이 값지다"고 했다.</p> <p contents-hash="3d9b771f70e660df9ccce0948b0101fd703e1dadb012b90e90fdeaf7a4dc47ed" dmcf-pid="uVdP5kGkYO" dmcf-ptype="general">이어 그는 "하루하루 호흡하듯이 연구하면서 지식이 쌓이는 것이고, 그것이 어떻게 보면 하루하루 성공한 것"이라며 제자가 말한 수천 번의 실패를 '성공'이라고 정정해달라 요청하기도 했다.</p> <p contents-hash="0d296c870da245b5e00c3ce6b2a61020921d2707cd60b9e28e391c014e700ad8" dmcf-pid="7fJQ1EHEHs" dmcf-ptype="general">shjo@yna.co.kr</p> <p contents-hash="b6fad5a4f4748f3e25aa64b8ddd84d3c450cae071d13b8a935d4dbbb547cb760" dmcf-pid="q8nMFwZwZr" dmcf-ptype="general">▶제보는 카톡 okjebo</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2억5000만뷰’ BTS 정국…‘3D’로 글로벌 음원·유튜브 싹쓸이 09-09 다음 [경정] 서울올림픽 37주년 기념 대상경정, 오는 17~18일 개최 09-09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