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소액결제 피해 사고…서울YMCA "정부 합동조사 필요" 작성일 09-09 18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피해확산하면서 우려 커져…과기정통부·개보위도 나서야"</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Q9zomQEQZg">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f077ec3f298d6e7a4125369117f2a741df98d06b15a7095e8be314592270a9b9" dmcf-pid="xyhqQ141Go"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서울=뉴시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9/newsis/20250909084651103kiae.jpg" data-org-width="640" dmcf-mid="PcQsGNTN1a"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9/newsis/20250909084651103kiae.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서울=뉴시스]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afd658929ff0003283793c6f66e1066e58771f2e9934f5eeb5c80b3a8a69a8f3" dmcf-pid="yx4DTLhLGL" dmcf-ptype="general">[서울=뉴시스] 심지혜 기자 = KT 가입자들을 대상으로 한 집단 소액결제 해킹 피해가 확산되면서 시민단체가 정부와 KT에 긴급 대응을 촉구하고 나섰다. </p> <p contents-hash="69b1fa45885858dd6b09bd1b0d91ca2d247e73ba58c2bf1ab2a71f1840d5c963" dmcf-pid="WM8wyoloXn" dmcf-ptype="general">서울YMCA 시민중계실은 9일 입장 자료를 통해 "피해 건수가 불과 며칠 만에 3배 가까이 폭증했다"며 "소비자 보호 조치와 정부 합동조사가 시급하다"고 밝혔다. </p> <p contents-hash="c1db7677740f0e5e4571dbac0873ee7c6c3ec7b0438544514736258bdcaf5132" dmcf-pid="YR6rWgSgZi" dmcf-ptype="general">지난달 27일부터 이달 6일까지 경기 광명시 소하동과 하안동, 서울 금천구 등에 거주하는 KT 가입자 휴대전화에서 모바일 상품권을 구매하거나 교통카드 결제가 이뤄져 수십만원이 빠져 나가는 사건이 발생했다.</p> <p contents-hash="0659050bfa04320db1e8d3d9f4a1aad13bdd5bcc90ea38c19e799fd8e27817f9" dmcf-pid="GePmYavatJ" dmcf-ptype="general">경기남부경찰청에 따르면 소액결제 피해자는 현재까지 74명, 피해금액은 4580만원 규모다. 피해자들은 상품권 구매 과정에서 인증문자를 받지 못했는데도 새벽 시간대 결제 한도가 상향되며 결제가 진행되는 공통적인 피해 정황을 호소했다. </p> <p contents-hash="9b62079a85a843c24c4df9ce20126706cd6151c6e0f334ef8f86435e9eda9903" dmcf-pid="HdQsGNTNHd" dmcf-ptype="general">이는 KT의 문자(SMS) 인증 체계가 우회되거나 가로채기 당했을 가능성을 시사하며, 통신사 내부 시스템 해킹, 유심(USIM) 복제, 심(SIM) 스와핑 등이 원인일 수 있다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p> <p contents-hash="e0ff2a9b2e89c2e0df701e0d2fbb72ab757eb06bb6a415411c44288b572ce9d9" dmcf-pid="XJxOHjyjHe" dmcf-ptype="general">KT는 상품권 결제 한도를 일시 축소하는 정도의 조치를 취했으나, 서울YMCA는 '소극적 대응'이라고 비판했다. </p> <p contents-hash="012d2f046ad682bfe14481c07aa94ad3ead79b41a9bf4268472ddb984501f061" dmcf-pid="ZiMIXAWAtR" dmcf-ptype="general">현재 경찰 수사가 진행 중이지만 서울YMCA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등 관계부처가 적극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p> <p contents-hash="57048503ee5895e11cb9e4d23bf96838fadb6ad9f8d6549b5aa7d7e402daf159" dmcf-pid="5nRCZcYcGM" dmcf-ptype="general">이 단체는 “과기정통부와 개보위 등 관계 부처가 소비자 보호조치와 원인 규명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며 "KT의 가입자 피해 예방과 확산 방지를 위한 조치, 피해자 구제 노력도 구체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p> <p contents-hash="1db3646b92eb145b0d50da449ccee3956aace91d940c1110c30a177aac660eb8" dmcf-pid="1Leh5kGkGx" dmcf-ptype="general">그러면서 ▲해킹 사실 및 대응 방안에 대한 투명한 공개 ▲전체 고객을 대상으로 소액결제 임시 차단 기본 적용 ▲피해 접수 전담 콜센터 및 온라인 신고 채널 개설 ▲과기정통부·개보위·경찰이 참여하는 민관 합동조사단 구성 등을 요구했다. </p> <p contents-hash="537f0115b407bef275eceb68995311adc6b436fc3779decfb53496a8f3708fa7" dmcf-pid="todl1EHEXQ" dmcf-ptype="general">서울YMCA는 “이번 사건은 단순한 소규모 보안 사고가 아니라 국민 신뢰를 무너뜨리는 중대한 위협”이라며 “KT와 정부는 책임을 회피하지 말고 즉각적인 피해 확산 방지와 실효적 소비자 보호 조치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e3720f50559cc1c4bcabf257fb6e622a9606e5fa4de6b3dbc0b44d8ff919ad5a" dmcf-pid="FgJStDXDZP" dmcf-ptype="general"><span>☞공감언론 뉴시스</span> siming@newsis.com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솔라, '귀시'로 스크린 데뷔 09-09 다음 '책통법' 도서정가제 개정 곧 11년...논란은 여전 09-09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