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 과잉연결'과 특정 유전자…자폐스펙트럼 원인이었다 작성일 09-09 16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한국뇌연구원, AI 기반 분석으로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새로운 단서 발견</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Ufnag0Q0SF"> <p contents-hash="78e3742f5042564479bff7ebc3de4dcbf5b61662fdeb4a526556603cba591d40" dmcf-pid="uiwOsVaVCt" dmcf-ptype="general">[아이뉴스24 정종오 기자] 한국뇌연구원(원장 서판길)은 인지과학 연구그룹 정민영 선임연구원과 일본 후쿠이 의대 히로타카(Kosaka Hirotaka) 교수의 공동연구팀이 인공지능(AI) 기술과 최신 뇌영상 기술을 활용해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의 감각이상의 새로운 생물학적 지표(바이오마커)를 찾아냈다고 9일 발표했다.</p> <p contents-hash="a946e3f149cdcee2bd7a0464dfb1f03dca408dcd3ad9412f6c109331b6d5e852" dmcf-pid="7nrIOfNfS1" dmcf-ptype="general">자폐 스펙트럼 장애는 오랫동안 ‘사회성 부족’이 핵심 특징으로 알려져 왔다. 최근에는 감각 정보 처리의 이상이 행동 문제와 연결될 수 있다는 새로운 관점이 주목받고 있다. 지금까지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뇌의 구조와 기능, 유전적 요인, 감각적 특성이 서로 어떻게 얽혀 있는지 알려진 바가 거의 없었다는 점이다.</p> <p contents-hash="8c16934ad06e78c28a87aa69c9931408890805a2f8f6fed8e6bc05df7a5eb421" dmcf-pid="zLmCI4j4C5" dmcf-ptype="general">공동연구팀은 감각 관련 행동, 뇌 구조와 기능 영상, 후성유전학적 지표를 통합해 세 가지 차원의 데이터를 분석하는 새로운 AI 접근법을 시도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9d1c059875ca1c2de0db6c3054b68259817693021dde0f941bed3a4a5a63ba3" dmcf-pid="qoshC8A8SZ"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한국뇌연구원. [사진=한국뇌연구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9/inews24/20250909134847978egve.jpg" data-org-width="580" dmcf-mid="ptTGYdsdT3"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9/inews24/20250909134847978egve.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한국뇌연구원. [사진=한국뇌연구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1718a6ea5ad710853ea4d95976d87d1f5ce3ce86ad56109f98a5b3d3da6d5223" dmcf-pid="BgOlh6c6lX" dmcf-ptype="general">국내·외 ASD 환자군와 정상대조군 106명이 참여한 연구 결과 “우리 뇌에서 감각 정보의 중앙 처리 허브 역할을 하는 ‘시상(thalamus)’과 대뇌 ‘피질(cortex)’ 사이의 연결성이 자폐 스펙트럼 장애 환자들의 경우 과잉연결(hyperconnectivity)을 보이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고 외부 감각 정보를 처리하고 전달하는 과정이 과도하게 활성화되어 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d787f9d6a381302f856f193cf0fcdb0b04c5df4665e669a7cdc4fcdfc60f5435" dmcf-pid="baISlPkPyH" dmcf-ptype="general">AI기반 영상유전학분석을 통해 놀라운 사실도 드러났다. 기존 자폐 스펙트럼 장애 연구에서 ‘사회성 호르몬’으로 알려진 옥시토신 유전자보다, 그동안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했던 ‘바소프레신 수용체’ 유전자의 후성유전적 변화가 ASD의 감각적 특징을 분류하는 데 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다.</p> <p contents-hash="60e0b8208f6f822599298dfe131302d78fac340afc911dda64a1ba31c8e06721" dmcf-pid="KNCvSQEQCG"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최신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행동, 뇌 영상, 후성유전자 데이터를 모두 포함한 ‘뇌영상-후성유전자 통합 모델’이 뇌 영상 데이터나 후성유전자 데이터만 단독으로 사용한 모델보다 월등히 높은 정확도로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분류할 수 있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681b041a2284d97e66856d47bcb0ce99b4c2dc06201dfb575eeff1664ea759f2" dmcf-pid="9BMJdZVZTY" dmcf-ptype="general">이번 연구의 가장 큰 성과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복잡하고 이질적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다차원적인 생물학적 정보를 통합하고, AI를 통해 그 안에서 핵심적인 바이오마커를 식별했다는 점이다. 특히 ‘뇌 과잉연결’과 ‘바소프레신 수용체 유전자의 후성적 변화’라는 두 가지 새로운 단서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신경생물학적 원인과 감각적 특징을 규명하는 데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p> <p contents-hash="0f6557880be1f66d4eb2b61c81902009c296cf535ae5faa1ad021e64f3fb0bc6" dmcf-pid="2bRiJ5f5vW" dmcf-ptype="general">한국뇌연구원 정민영 박사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정확한 조기 진단은 아동의 언어, 사회성 등 여러 발달 영역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이끌어내는 데 매우 중요하다”라고 연구의 의의를 전했다.</p> <p contents-hash="fcc027af86f6e57ae2467a161326d70f82c5b2ae36385b1c83470d6a65f91bbe" dmcf-pid="VKeni141Wy" dmcf-ptype="general">이번 성과(논문명: Dissecting the heterogeneity of autism spectrum disorder with sensory behavior, brain, and epigenetic factors)는 국제학술지 ‘Translational Psychiatry’ 최신호에 실렸다.</p> <address contents-hash="8d70d97d1e49502ed60d80b8d0970216b8c791b990322ea2c6974904033356ff" dmcf-pid="f9dLnt8tTT" dmcf-ptype="general">/정종오 기자<span>(ikokid@inews24.com)</span> </address>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고정밀지도 요구한 것 아냐"…'지도 반출' 논란에 입 연 구글 09-09 다음 [UDC 2025]패트릭 맥헨리 "韓, 황금 같은 기회…가상자산 주류 인정해야" 09-09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