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소액결제 해킹 피해 확산에…과기정통부, 민관합동조사단 가동 작성일 09-09 34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KT 가입자 무단 소액결제 관련 조사 <br>민관합동조사단 구성·운영</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fftl0cYcWY">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cc3ce160caf2ee34789f82a38d8e8a4790655de843f72844f8de4f718fd0339" dmcf-pid="44FSpkGkWW"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한 시민이 서울 시내 KT 판매점 앞을 지나고 있다. 연합뉴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9/dt/20250909145548628evzc.jpg" data-org-width="640" dmcf-mid="VtcRDKLKvG"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9/dt/20250909145548628evzc.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한 시민이 서울 시내 KT 판매점 앞을 지나고 있다. 연합뉴스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22fab2099f10ea625417ccddfc179e2e544a2c854ccf7218108f9f8ea5f6413e" dmcf-pid="883vUEHEly" dmcf-ptype="general"><br> 최근 KT 가입자들을 대상으로 한 소액결제 해킹 피해가 확산되면서 이동통신 보안에 대한 소비자 불안이 증폭되고 있다. 시민단체가 즉각적인 보호조치와 정부 조사를 촉구한 데 이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도 민관 합동조사단을 꾸려 대응에 나섰다.<br><br>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KT 가입자 무단 소액결제 사건과 관련, 조사를 위해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을 단장으로 하는 민관합동조사단을 구성해 현장조사 등 신속한 원인조사에 착수했다고 9일 밝혔다.<br><br> 과기정통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전날 저녁 7시16분 KT로부터 침해사고 신고를 접수하고 자료 보전을 요구했다. 이어 KT(우면동)를 방문해 상황을 파악했다. 정부는 사건의 중대성과 공격 기법 분석 필요성을 고려해 이동통신·네트워크 민간 전문가를 포함한 민관합동조사단을 꾸렸다. 과기정통부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을 단장으로 과기정통부 2명, KISA 4명, 민간 위원 6명이 민관합동조사단에 포함됐다. 이와 함께 정보보호 분야 민간 전문가가 참여하는 ‘자문단’을 구성해 사고 관련 기술적․정책적 자문을 받는 등 철저한 조사를 추진할 계획이다.<br><br> 경기도 광명과 서울 금천 지역에서 발생한 KT 소액결제 해킹 피해 접수 건수는 지난주 25건에서 74건으로 불과 며칠 만에 3배 가까이 늘었다. 사례에 따르면 피해자들은 새벽 시간 인증문자를 받지 못한 채 결제 한도가 상향되고 상품권 결제가 진행됐다. 이 과정에서 KT의 문자메시지(SMS) 인증 체계가 우회됐거나 유심 복제·심스와핑 등 내부 시스템 해킹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결제 한도 상향은 개인 단말 문제를 넘어 통신사 시스템 전반의 보안 취약성을 시사한다는 지적이 나온다.<br><br> KT는 피해 확산을 막기 위해 상품권 결제 한도를 일시적으로 축소했지만, 시민단체들은 근본적인 대응책은 미흡하다고 비판했다. 서울YMCA 시민중계실은 “이번 사태는 단순한 일부 고객 피해가 아니라 전체 가입자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대한 보안 위협”이라며 “KT와 정부는 더 이상 책임을 회피하지 말고 즉각적이고 실효적인 대응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br><br> 서울YMCA 시민중계실은 이번 사태와 관련해 △해킹 사실 및 대응 경과에 대한 투명한 공개 △소액결제 임시 차단 기능 기본 적용 △피해자 전담 콜센터 및 신고 채널 운영 △정부·경찰 참여 합동조사단 즉시 가동 등을 요구했다.<br><br> 이 단체는 “KT가 자체적으로 침해 흔적을 확인하지 못했더라도 보안 역량의 한계로 인정하고 정부와 전문기관의 지원을 받아야 한다”며 “국민 신뢰 회복을 위해 투명한 정보 공개와 신속한 보호조치가 절실하다”고 강조했다.<br><br> 이번 사건으로 지난주 제기된 KT·LG유플러스 개인정보 유출 의혹에 이어 또다시 통신사의 보안 이슈에 경고등이 커진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KT 측은 “개인정보 해킹 정황은 없는 것으로 확인했다”며 “경찰 수사와 정부 조사에 적극적으로 협조해 조속히 사건이 규명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br><br> 류제명 과기정통부 2차관은 “국민 피해 최소화를 위해 국내 최고 전문가 참여하는 조사단을 구성해 신속한 원인 파악·피해확산 방지를 위해 노력하겠다”며 “수사를 진행하는 경찰과도 긴밀히 협력하겠다”고 밝혔다.<br><br> 김나인 기자 silkni@d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팩플] 컬리·넷플릭스 이어 우버까지 묶은 네이버…구독 동맹 키워 쿠팡에 맞불 09-09 다음 10월 임실N치즈축제 기간에 '박주봉 전국 배드민턴대회' 개최 09-09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