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아마존 실패한 AI 채용, 진짜 공정한가요?" 작성일 09-09 26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MT리포트-AI 면접관 시대] ④ "AI가 사람보다 편견↓, 다양성 기여"</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4QyJZolo1s"> <blockquote class="pretip_frm" contents-hash="9bad1b5b6960d3f45dba97cbdd88eb6d9664a8117c5e10173f659eb1fbd2e6fd" dmcf-pid="8xWi5gSgHm" dmcf-ptype="pre"> [편집자주] 취업하려면 AI 면접관의 마음도 잡아야 하는 시대다. 지원자의 성향과 직무적합성을 판단하는 AI 역량검사가 대중화되고 있어서다. 편향성 우려 속 AI 역량검사 원리와 국내 채용시장의 AI 전환 흐름을 살펴본다. </blockquote> <div contents-hash="1975c0699f979a4595e0148d821c4421d6d65be7d16ce0f77c764b3b1266bd64" dmcf-pid="6MYn1avatr" dmcf-ptype="general"> <br> </div>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47df6da2298893aae3834487f694f0c37360b1ea15c466fecb65bea347c5003" dmcf-pid="PRGLtNTNXw"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사진=아마존"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9/moneytoday/20250909161649119iggc.jpg" data-org-width="583" dmcf-mid="fWJFaUMUYO"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9/moneytoday/20250909161649119iggc.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사진=아마존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a1e172d1838a26968af977123b9acda463be0304836a213ba66254d2fcffa7c5" dmcf-pid="QBrfhPkPXD" dmcf-ptype="general"> 2018년 아마존은 AI 채용 시스템을 도입한 지 4년 만에 폐기했다. 이력서에 '여성'이라는 단어가 포함되면 감점을 주고, '실행했다'처럼 남성 개발자가 주로 쓰는 동사가 나오면 우대하는 등 성차별적 결과가 드러났기 때문이다. AI가 지난 10년간 제출된 이력서에서 자주 등장한 용어 5만여개를 학습했는데, 남성 중심의 IT업계 특성이 고스란히 반영된 것이다. AI 채용이 편향성을 드러내며 인재 선발에 실패한 대표적 사례다. </div> <p contents-hash="918c69914ea588e69535deaeb6d09bb680b53bfe0363b9c2312b39e0dd40d63d" dmcf-pid="xbm4lQEQ5E" dmcf-ptype="general">그러나 최근엔 AI가 오히려 채용 성과를 높인다는 연구 결과가 잇따른다. PSG글로벌솔루션즈와 시카고대 경영대학원은 7만명의 지원자를 대상으로 AI 면접과 사람 면접을 무작위로 진행했다. 그 결과 AI 면접관이 긍정적으로 평가한 구직자의 최종합격률이 사람 면접 대비 18% 높았고 한 달 이상 근속률도 17% 더 높아 사람 면접관보다 채용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차별 경험 비율 역시 AI 면접은 3.3%로, 인간 면접(5.98%)의 절반 수준에 불과했다. 또 연구진은 "AI 면접이 사람 면접보다 채용 관련 정보를 더 많이 이끌어냈다"고 평가했다. </p> <p contents-hash="32c0ff1d6fcec3da4a2a2959373e66422e0ec843357a0a7d7431b81aaa4587b4" dmcf-pid="yrKh8TzT5k" dmcf-ptype="general">게임 기반 채용 솔루션을 개발한 파이메트릭스(Pymetrics)는 기존의 이력서 검토방식으론 여성의 50~67%가 불이익을 받는 반면, AI 채용 도입시 다양성이 20~100% 증가한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킴리 A. 하우저 오클라호마 주립대 교수는 "AI는 인간 의사결정 과정에 내재된 편견을 완화하고, 다양성과 채용 성공률을 높인다"고 분석했다. </p> <p contents-hash="d162834fc45f5ad319805914561da921b056f33a1d0a8a2a461741adb6fb4079" dmcf-pid="Wm9l6yqyGc" dmcf-ptype="general">전문가들은 취약점을 사전에 점검하는 '레드팀'을 운영하며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면 AI 편향을 줄일 수 있다고 설명한다. 이에 미국에선 지난해 10월 기준 포천 500대 기업의 93%가 도입했을 정도로 AI 채용이 대세가 됐다.</p> <p contents-hash="8c8aaf62057b6de6f201b232bcc227da18231c1185400039a3fd2e0cd2e8cad5" dmcf-pid="Ys2SPWBWYA" dmcf-ptype="general">AI 채용의 공정성·투명성·책임성을 높이기 위한 입법 필요성도 제기된다.미국 일리노이주는 구직자에 AI 작동방식을 설명하고 영상공유·파기 등을 규정한 'AI 영상면접법'을 제정했고 뉴욕시도 AI 채용도구 이용시 편향성 사전 감사를 의무화한 조례를 마련했다. </p> <p contents-hash="3a09e84c00b52a7bd0615fe30a370673abae0d33a2a44ab2f1a48b824ff8f16c" dmcf-pid="GOVvQYbY5j" dmcf-ptype="general">최창수 국회도서관 법률자료조사관은 "우리나라에서도 대기업과 공기업의 AI 채용기술 활용이 확산하고 있으나 공정성·투명성 확보를 위한 법률이나 규정은 없다"며 "AI 채용의 평가방법 및 알고리즘 작동방법을 구직자에게 사전 설명하고 편향성 방지를 위해 외부감사를 의무화하는 규정이 요구된다"고 제언했다.</p> <p contents-hash="1e6f33fc0b4adb36791d3c79e9c2670a4d835f14efddfd5356e421af0ece8686" dmcf-pid="HIfTxGKGXN" dmcf-ptype="general">윤지혜 기자 yoonjie@m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K-VIBE] 임기범의 AI 혁신 스토리…카톡에 챗GPT? 편리함 속 이면의 위험 09-09 다음 핸드볼 챔피언스리그, 메츠 극적 1골 차 승리…에스비에르 원정서 개막전 제압 09-09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