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 혁신, 미래를 설계하다] 〈10·끝〉 베스트그래핀, '기능화그래핀'으로 배터리 소재 선도 작성일 09-09 16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9fVUPWBWmz">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72c0b50d1b10020b3087c439881fc0abfa72b6e33a819e64ce053eec8089594" dmcf-pid="24fuQYbYO7"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베스트그래핀 회사 전경 (베스트그래핀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9/etimesi/20250909170248083ccqf.png" data-org-width="700" dmcf-mid="Br908TzTsb"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9/etimesi/20250909170248083ccqf.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베스트그래핀 회사 전경 (베스트그래핀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75d02f4f44b8f60c419b904a04be5d7d7fdf1a3dc3c065dde5d2fe8272f919a1" dmcf-pid="V4fuQYbYOu" dmcf-ptype="general">베스트그래핀은 2017년 설립 이후 '꿈의 신소재' 불리는 그래핀 복합소재 상용화에 주력해 온 회사다. 관련 산업 커뮤니티인 그래핀위원회에 '기능화그래핀' 전문기업으로 등재되며 주목받았다.</p> <p contents-hash="7a7e4afcaaf75245f8e403f1c4cf05ce7ef09cc4fe9a002b6d3b558cf8d382f6" dmcf-pid="f847xGKGsU" dmcf-ptype="general">그래핀은 우수한 전기 전도성과 강도를 지닌 신소재다. 다만 일반적인 그래핀은 재응집되는 성향이 강해 우수한 특성을 살리기 쉽지 않고, 다른 소재와 결합이 어려워 복합 소재 활용이 힘든 한계도 있다.</p> <p contents-hash="645766e2a40c566c3ce8e436c866f2fc0edbba3c2af3687c4c0da6303a3e2390" dmcf-pid="468zMH9HOp" dmcf-ptype="general">베스트그래핀의 핵심 기술은 기능화그래핀이다. 화학적 개질합성법으로 그래핀 분자구조 말단에 관능기를 도입해 입자간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 별도 분산제나 바인더 도움 없이도 분산되고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금속, 세라믹, 고분자 등 다른 소재와 결합하는 작용기 역할을 하기 때문에 복합 소재로 만드는데도 유리하다.<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dfe36722a407ad81ec640c50cf5ae92826805ba1ccb0f6d5395a82c379f4fa6" dmcf-pid="8P6qRX2XO0"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일반적인 그래핀과 기능화그래핀 기술의 차이 (베스트그래핀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9/etimesi/20250909170249359niyh.png" data-org-width="700" dmcf-mid="bIGI1avaDB"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9/etimesi/20250909170249359niyh.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일반적인 그래핀과 기능화그래핀 기술의 차이 (베스트그래핀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1028f394395857f55c5828f67cd8cf59f61667ad4b1f0113b160366c78bfbcd3" dmcf-pid="6QPBeZVZs3" dmcf-ptype="general">진성민 대표는 삼성전기 수석연구원으로 적층세라믹콘덴서(MLCC), 고분자 복합재료 개발에 참여하면서 차세대 전자 소자와 에너지 소자에 그래핀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 김명기 연구소장과 함께 베스트그래핀을 창업했다.</p> <p contents-hash="ed9ca0961333d7757655356e06d4c258de291ed8135d409a2a5e50c71e659eb4" dmcf-pid="PxQbd5f5IF" dmcf-ptype="general">창업 초기 중진공 정책자금을 바탕으로 국내 최초 기능화그래핀 양산 체제를 구축했다. 2023년에는 100억원 규모 시리즈A 투자를 유치하면서 차세대 배터리 소재 전문연구센터를 개소하고 인력 충원, 파일럿 라인 구축 등 인프라를 강화했다.</p> <p contents-hash="22280a7ba6bffb18e7b305d5b54cd5a9456cb708546abeb3ba46dd6572b5f9dd" dmcf-pid="QMxKJ141Et" dmcf-ptype="general">회사는 기능화그래핀 기반 자동차 와이퍼 블레이드 코팅액 상용화에 성공해 2023년부터 국내 B사에 공급 중이다. 전기·전자 부품용 첨가제, 전도성 잉크, 기능성 코팅, 배터리용 복합소재 분야에서도 성과를 내고 있다.<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8c5b6d4f7d1bc7372fc614ae9ede6d64890c8a8c49d2a46295c53b18d2a970c" dmcf-pid="xRM9it8tO1"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진성민 베스트그래핀 대표 (베스트그래핀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9/etimesi/20250909170250648frln.jpg" data-org-width="700" dmcf-mid="KAWsZoloOq"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9/etimesi/20250909170250648frln.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진성민 베스트그래핀 대표 (베스트그래핀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d6d4609171518ed6b1417963da306a25b6d07d178d747d002f4eb79f411e5245" dmcf-pid="yYWsZolos5" dmcf-ptype="general">특히 실리콘 음극재에 최적화된 기능화그래핀 코팅 기술은 실리콘 부피 팽창을 제어하고 용량, 효율, 수명을 향상시킬 기술로 기대를 모은다. 현재 다수 실리콘 음극재 제조사와 기술 검증을 진행 중이다.</p> <p contents-hash="2b7d4e9c4ee5d4d08529769a2588f5e68185cd507485153067b8fb7f37582e17" dmcf-pid="WGYO5gSgrZ" dmcf-ptype="general">배터리 전극 소재간 전도성과 접착력을 개선시킬 수 있는 그래핀하이브리드 바인더(GHPB) 기술은 국내외 고객사와 양산 규모 성능 검증을 진행 중으로 이르면 올해 말부터 일부 수요처 채택을 기대하고 있다.</p> <p contents-hash="17e09ab71eab0f5fdf23b90da3109010cc3c0d0fc0598b2583324b1fa1f2b822" dmcf-pid="YHGI1avaIX" dmcf-ptype="general">지난해 말에는 '그래핀네트워크배터리(GNB)'라는 기능화그래핀 기반 신개념 배터리 기술을 공개했다. 초고용량, 고에너지밀도, 장수명 특성을 내면서 100% 실리콘 음극 배터리를 가능케할 기술로 평가받는다.</p> <p contents-hash="3c29112d8cf52d7cb746ad7a283a1779a8a9d51c824bee1bc1ab8f4e2cb0af55" dmcf-pid="GXHCtNTNsH" dmcf-ptype="general">베스트그래핀은 현재 연 25톤(t)인 기능화그래핀 분산액 생산능력을 2026년 300t, 2028년 2000t, 2032년 2만t 수준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200억원 규모 추가 투자 유치도 준비 중이다.</p> <p contents-hash="be170e431bb5c672d2d0c73333c1642bb6bdf9ec3119c4d77820ac39a67a4696" dmcf-pid="HZXhFjyjOG" dmcf-ptype="general">진 대표는 “우수한 원천기술과 공정기술을 통해 그래핀 소재 상용화에 가장 큰 걸림돌인 가격 경쟁력을 제고했다”면서 “기능화그래핀 기술은 리튬메탈, 리튬황, 전고체 배터리에도 활용 가능해 확장성이 큰 만큼 차세대 배터리 솔루션 기업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c8aee4b38b48ce47018b541ba1a964d6eea89cc396163878256853bd2eda0cd5" dmcf-pid="X5Zl3AWArY" dmcf-ptype="general">※[나노 혁신, 미래를 설계하다] 시리즈는 전자신문과 한국나노융합산업협회가 나노기술보유기업확인프로그램을 통해 검증된 국내 유망 기업 10곳을 선정, 혁신 기술력과 성공 사례를 소개한다.</p> <p contents-hash="26a302065a4527046fc32316f5e660f24b1b2c78901433eb5d6aa4a2c80a2c51" dmcf-pid="ZTvwGiIiwW" dmcf-ptype="general">정현정 기자 iam@etnews.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정책 바뀌어도 기술은 간다”···UDC가 보여준 '스테이블코인'의 길 09-09 다음 국가AI컴퓨팅센터, 1.5만장 GPU 구매 우선권 없다…GPUaaS 경쟁 치열 전망 09-09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