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플레어 "6개월 걸리는 AI 앱 개발, 3일로 단축" 작성일 09-09 19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데인 크네히트 최고기술책임자(CTO), 개발 플랫폼 소개…"GPU 낭비 줄여"</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BPq8sfNfN6"> <p contents-hash="fb53fff00b98828afda4aa31312d41adbde6395795803d61bb6fdcded71e01c6" dmcf-pid="bQB6O4j4k8" dmcf-ptype="general">(지디넷코리아=김미정 기자)<span>"우리 개발 플랫폼은 애플리케이션 구축과 운영 방식을 가장 단순화한 형태입니다. 평소 6개월 걸리던 인공지능(AI) 서비스 </span><span>출시를 3일로 줄인 사례도 있습니다</span><span>. 앱 배포와 AI 추론·운영을 한 번에 처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span></p> <p contents-hash="4c3a6a3625de25917ac522b72f4aa6e1a8408fc3243bbd3caf54de70223b5179" dmcf-pid="KxbPI8A8j4" dmcf-ptype="general">데인 크네히트 클라우드플레어 최고기술책임자(CTO)는 9일 조선팰리스 서울 강남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자체 개발 플랫폼 특장점을 이같이 밝혔다. </p> <p contents-hash="6e713a2d46dae740aeb61254e9d942e3e346e9b35bb963d0570a316e73975c31" dmcf-pid="9MKQC6c6af" dmcf-ptype="general"><span>클라우드플레어의 개발 플랫폼은 </span>전 세계 엣지에서 코드를 실행하는 서버리스 환경서 작동한다. 데이터와 메시징, AI 도구를 통합 제공한다. <span>개발자는 서버를 직접 관리하지 않아도 </span><span>전 세계 네트워크로 앱을 자동 실행</span><span>·</span><span>배포할 수 있다. </span></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462d00c7922af81ab4b65a2fca92a9b509799ba6a459e884bbbd10e9ea6d552e" dmcf-pid="2R9xhPkPcV"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데인 크네히트 클라우드플레어 최고기술책임자(CTO)."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9/ZDNetKorea/20250909170852160dvmh.jpg" data-org-width="640" dmcf-mid="zFoRSxDxjQ"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9/ZDNetKorea/20250909170852160dvmh.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데인 크네히트 클라우드플레어 최고기술책임자(CTO).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10313a1ecc1c3c6cebbdc1ff87f4fa7380042323b593977f2b97bedba3e88936" dmcf-pid="V0WFJ141o2" dmcf-ptype="general"><span>크네히트 CTO는 해당 플랫폼 특장점으로 높은 자원</span><span>·</span><span>비용 효율성을 꼽았다. 그는 "보통 기업이 아마존웹서비스(AWS) 등 하이퍼스케일러 플랫폼에서 그래픽처리장치(GPU)를 빌려도 실제 쓰는 시간은 약 30%에 그친다"며 "이때 대규모 자원 낭비가 발생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우리 플랫폼은 GPU가 실제 작동할 때만 요금이 책정된다"며 "자원과 비용 모두 절약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고 강조했다. </span></p> <p contents-hash="72dbd4f88983953a572f65440bf9a04849c8391fba7d4cb8ebd4d659a4d9a5f0" dmcf-pid="fpY3it8tc9" dmcf-ptype="general">그는 애플리케이션 배포 단순화도 플랫폼 특장점으로 꼽았다. 그는 "보통 기업이 새 AI 앱을 내놓을 때 어느 지역에서 얼마나 활용될지 예측하기 어렵다"며 "우리 플랫폼은 지역 선택과 규모 조정을 자동 처리한다"고 강조했다. 예를 들어 앱 사용자가 몰리면 바로 배포 지역·규모가 자동 늘어나는 식이다. 이에 <span>개발팀은 인프라 계산 대신 서비스 기능 개선에 시간을 쏟을 수 있는 셈이다.</span></p> <p contents-hash="3c08fb34cdbfae372d67801d0150a0419a7527cb145f96f5398d06d9f2d7c6d9" dmcf-pid="4UG0nF6FjK" dmcf-ptype="general">크네히트 CTO는 클라우드플레어 개발자 플랫폼이 우수한 사용 경험을 갖췄다고 강조했다. 그는 "개발자가 기존보다 AI 앱을 빠르게 만들어 배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며 <span>"코드·앱 출시 속도를 획기적으로 높인다"고 덧붙였다.</span></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595aae9cd7a888e01d0a757698964d839055e821071eb393e2b61fe6b291e804" dmcf-pid="8uHpL3P3cb"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그는 플랫폼 활용 예시로 페이팔 사례를 공개했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9/ZDNetKorea/20250909170853431ltvf.jpg" data-org-width="640" dmcf-mid="qCv5RX2XoP"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9/ZDNetKorea/20250909170853431ltvf.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그는 플랫폼 활용 예시로 페이팔 사례를 공개했다.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ea5fa0f1f3f8e80c72825b33c7326168b41adac8a196d0951267814e0c5e90c7" dmcf-pid="67XUo0Q0cB" dmcf-ptype="general">크네히트 CTO는 플랫폼 활용 예시로 페이팔 사례를 공개했다. 페이팔은 클라우드플레어 플랫폼에 모델 컨텍스트 프로토콜(MCP) 서버를 구축해 에이전트형 서비스를 업무에 적용했다. </p> <p contents-hash="57b512471bcd7ea85dc19527e7c5591be7fec5765278f482e3939b319c66a4b8" dmcf-pid="PzZugpxpgq" dmcf-ptype="general"><span>결과적으로 </span><span>에이전트는 송장 데이터를 분석해 결제 진행 상황을 확인하는 기능을 탑재했다.</span><span> 연체 여부를 판단하고 필요한 후속 조치까지 수행할 수 있다. 전체 작업 시간은 3일 걸렸다. </span><span>그는 </span><span>"페이팔이 </span><span>타사 </span><span>플랫폼으로 </span><span>해당 </span><span>서비스를 </span><span>구현했다면 </span><span>6개월 </span><span>정도 </span><span>걸렸을 </span><span>것"이라며 </span><span>"이때 </span><span>대규모 </span><span>자원과 </span><span>높은 </span><span>비용이 </span><span>들었을 </span><span>것"이라고 </span><span>예측했다. </span></p> <p contents-hash="db2e738d8dfd7cb8c87464e74595b5281d10539600872fa623c18dc0a8cc729b" dmcf-pid="Qq57aUMUjz" dmcf-ptype="general">크네히트 CTO는 "에이전틱 AI 시대 개발 관건은 비용과 속도"라며 "앞으로 자체 MCP를 추가 개발하는 등 개발자 업무 효율성 높이기에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2203f706b883c02594861846b1c3ecaf14913b9a26649dfb47a9bdce5083f071" dmcf-pid="xB1zNuRuo7" dmcf-ptype="general">김미정 기자(notyetkim@zdne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올아워즈 유민 “스트레이 키즈·에이티즈·마크, 챌린지 원한다” [SS현장] 09-09 다음 "韓 요구 수용"…지도 반출 또 압박한 구글 09-09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