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숙 방통위원장 “개편안, 법 바꿔 사람 잘라내려는 것”…‘자진사퇴’ 일축 작성일 09-09 3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xufZAzdzTO">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0ba3e5d2a01acc495ed6af74bf19c2ee8f0b14833a5c38040209ccbc4fa7200" dmcf-pid="yhXEfSuSls"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이 9일 경기 정부과천청사에서 방송통신위원회를 폐지하고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를 신설하는 내용의 정부조직 개편안과 관련한 입장을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9/dt/20250909174115578ilzb.png" data-org-width="500" dmcf-mid="Q9Od0cYcSI"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9/dt/20250909174115578ilzb.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이 9일 경기 정부과천청사에서 방송통신위원회를 폐지하고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를 신설하는 내용의 정부조직 개편안과 관련한 입장을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59619fbd80ef6f92069ef507ac4273824c001e8963d4cd8e461cd00b4807ed31" dmcf-pid="WlZD4v7vvm" dmcf-ptype="general"><br>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이 9일 현재 논의 중인 방송통신위원회 개편안을 두고, “이진숙 축출법”이라고 비판하며, 법안 통과 시 법의 판단을 받겠다고 9일 밝혔다.<br><br> 이날 오후 정부과천청사 방통위 기자실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 위원장은 지난 7일 발표된 방통위 개편안에 관해 “법을 바꿔서 사람을 잘려내려는 것은 불법적”이라며 “(방송미디어통신위 설치법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할 경우) 법의 판단을 받아봐야 않을까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br><br> ‘소송을 검토하느냐’는 질문에는 “아직은 법이 통과가 안 됐으니까, 그쯤 가서 말씀드릴 기회가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답했다. 명시적으로 밝히진 않았지만, 헌법소원이나 가처분 신청 등을 검토할 것이라는 취지로 해석된다.<br><br> ‘자진 사퇴’ 의향을 묻는 물음에는 “사퇴 압박을 그대로 받아들이고 자진 사퇴한다면 부정에 대한 협력이라 생각한다”며 “이런 시도에 맞서는 것이 정의를 위한, 법치를 위한 조그마한 기여이고 제가 해야 할 일”이라고 말해 사퇴 의사가 없음을 분명히 했다.<br><br> ‘대구시장 출마설’에 대해선 “지금까지는 임기를 채운다는 생각만 했고 다른 생각은 하지 않았다”고만 답했다.<br><br> 이 위원장은 방통위를 폐지하고 방송미디어통신위를 신설하는 법안의 내용에 대해 “현재 방통위에서 유료방송 관리 권한이 추가되는 정도여서 틀이 근본적으로 달라지지 않는다”며 “이진숙 면직, 사실상 축출이 목적”이라고 주장했다.<br><br> 그러면서 “사람 하나 찍어내기 위해 정부 조직 개편 수단이 동원된다면 민주적 정부라고 할 수 있겠나”며 “대한민국이 좀 우스꽝스럽게 됐다”고 했다.<br><br> 그는 “방통위라는 기관은 대통령 직속 중앙행정기관이지만 대통령을 위해 봉사하는 기관이 아니고 국민을 위해 봉사하는 기관”이라며 “방송이 윤석열 정부의 소유가 아닌 만큼 이재명 정부의 소유가 돼서도 안 된다”고 말했다.<br><br> 이어 “이재명 정부와 의견이 다르기 때문에 이 자리에 있어서 안 된다는 말은 매우 위험한 발언”이라고 지적했다.<br><br> 이 위원장은 “저를 찍어내고 나면 이 자리에는 정부와 의견을 같이하는 인사가 위원장으로 올 가능성이 매우 크다. 정부가 하는 정책에 박수를 치고 공감을 표하는 인사를 (위원장으로) 앉힐 때 우리나라 방송·언론은 과연 독립적인 것일까”라고 물었다.<br><br> 앞서 지난 7일 더불어민주당과 정부, 대통령실이 고위당정협의회에서 확정해 발표한 정부 조직개편안에 따르면, 현재 방통위는 폐지되고 대신 인터넷TV(IPTV), 케이블TV 인허가 등 유료 방송 정책 기능을 더한 방송미디어통신위가 신설된다.<br><br>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는 이날 소위에서 이 같은 내용의 방송미디어통신위 설치법안을 국민의힘 의원들이 퇴장한 가운데 더불어민주당 주도로 의결했다.<br><br> 해당 법안은 기존 방통위 소속 공무원은 신설 방송미디어통신위 소속으로 보게 된다. 하지만, 방통위원장과 같은 정무직은 그 대상에서 제외하고 있어, 법안의 공포·시행과 함께 이 위원장은 임기종료로 사실상 해임된다.<br><br> 박양수 기자 yspark@d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박진영 “2009년 원더걸스처럼”... 대통령직속위원장으로 K-팝 도약 꿈꾼다 09-09 다음 칸과 고레에다가 선택한 감독 '하야카와 치에'…'르누아르'로 부산 상륙 09-09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