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양자·드론 시대 대비"…국정원 보안 기준 강화(종합) 작성일 09-09 21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국가망 보안가이드라인 1.0, 통제 항목 260여개로 확대<br>모빌리티·우주시스템 보안체계까지 새로 마련</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fqeXmVaVtC">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541e1294ab22df9a54f9c12c44a9a9164be860994e094c5e71deea14904b393" dmcf-pid="4BdZsfNfYI"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CSK 2025 [국가기술보안연구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9/yonhap/20250909180249639ktuh.jpg" data-org-width="1200" dmcf-mid="Vbi1I8A81h"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9/yonhap/20250909180249639ktuh.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CSK 2025 [국가기술보안연구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fd6c531fbbfdf5ff81034cacf633bef529ea42e2e91c7a19b0e7ff9d57dc7d1f" dmcf-pid="8bJ5O4j4ZO" dmcf-ptype="general">(서울=연합뉴스) 오지은 기자 = 국가정보원이 국가망보안체계 보안가이드라인 초안을 고도화한다는 계획을 밝혔다.</p> <p contents-hash="60a971b5bf71cb707ce27f073900c32c5355703dac4b041637ffad908331bfd6" dmcf-pid="6Ki1I8A8Ys" dmcf-ptype="general">국정원은 9일 서울 코엑스에서 '글로벌 사이버안보를 위한 한발 앞선 노력'을 주제로 열린 사이버 서밋 코리아(CSK) 2025에서 이같이 발표했다. </p> <p contents-hash="95a5fc55a7c456b908e497d94f6af66af9a4e7cf1c7fa4f87e77dccc53e83a9a" dmcf-pid="P9ntC6c61m" dmcf-ptype="general">양자컴퓨터와 같은 해킹 위험이 부상하고 드론과 같은 모빌리티 분야로까지 보안의 범위가 확산하면서 이러한 요소가 사이버 안보의 핵심 요소로 부상하고 있다고 국정원은 설명했다. </p> <p contents-hash="8eaf118d94fe515749d446cfd46bcd23feeffe2d2c3c7597ef2a3f1f1e1818ba" dmcf-pid="Q2LFhPkPGr" dmcf-ptype="general">이에 국정원은 국가망보안체계(N2SF) 기반 신기술과 공공데이터 활용, 범(汎)국가 양자 내성 전환 종합 추진계획 수립, 모빌리티 분야 보안 체계 정립, 우주시스템 사이버보안 가이드라인 등 4가지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 </p> <p contents-hash="7e11cd70dd79159bb1a2d51919d4c659337d45b7ab9b4a7e24c9c6d099503e8a" dmcf-pid="xVo3lQEQ1w" dmcf-ptype="general">먼저 국가망보안체계 기반 신기술과 공공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해 국정원은 지난해 말부터 작성한 국가 망 보안체계 보안가이드라인을 가이드라인 1.0으로 고도화하는 작업을 추진 중이라고 전했다. </p> <p contents-hash="53271a2256c4a71d19c2888f6053b431a692c9fce97b58577e3940604ddee481" dmcf-pid="yIta8TzTtD" dmcf-ptype="general">고도화 작업에 따라 가이드라인 1.0은 보안통제 항목이 기존 170여개에서 260여개로 확대됐고, 정보서비스 모델도 기존 8개에서 11개로 늘었다.</p> <p contents-hash="d032a90f33a5539b370a87f6985a8000fcdf33e9e308092edb15a2099b249ff0" dmcf-pid="WF4Sj7e7tE" dmcf-ptype="general">과학기술정보통신부 시범 사업으로 적용된 국가망보안체계 사례로는 특허청 업무단말에서 신뢰된 인터넷 검색 사이트나 챗GPT 같은 생성형 AI를 활용한 예시가 제시됐다.</p> <p contents-hash="e8db01d65a077f407d569a1a497f839030e527a408bb47d9afe653eeebe966bb" dmcf-pid="Y38vAzdztk" dmcf-ptype="general">아울러 국가망보안체계 기반 신기술과 공공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해 공공용 민간 클라우드 보안기준을 완화하고 민감정보의 공동 활용 클라우드를 정립하는 등 클라우드 보안정책을 개선해야 한다고 국정원은 강조했다.</p> <p contents-hash="2bc81ae2f76c9a49328d8b212f1f87c7e3aff86a2027c1e3d6da2a81ab2d721c" dmcf-pid="G06TcqJqYc" dmcf-ptype="general">범국가 양자내성 암호체계 전환 추진계획은 고성능 양자컴퓨터에 의해 암호체계가 무력화되는 것을 막기 위해 양자내성 암호를 보급하고 2035년까지 국가 전반의 암호체계를 전환하기 위해 정부가 추진 중인 마스터플랜이다. </p> <p contents-hash="04c5ae073a2d8d47b003e2f1e27d4e0ddd06b0813a27f1fa52388e144d552efd" dmcf-pid="HpPykBiBtA" dmcf-ptype="general">추진계획에는 2029년까지 암호체계 전환을 이행하고 2030년까지 기관이나 분야별 전환 준비 계획을 수립하는 내용이 담겨있다. </p> <p contents-hash="879edae8f6957d9b8c500d4aa38026542ffd8d8d1d98183587681ac652e55dc3" dmcf-pid="XUQWEbnbZj" dmcf-ptype="general">국정원은 59개 추진항목에 따라 관계부처와 협력하며 목표 달성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p> <p contents-hash="01e86ec646761de910676244b7be74b4562cb06270ab4c6e15313fda7e566751" dmcf-pid="ZuxYDKLKGN" dmcf-ptype="general">모빌리티 분야 보안체계의 경우 현재 도입 확산 시기인 점을 고려해 사용 규제가 아닌 폭넓은 활용 중심의 보안정책이 돼야 한다고 국정원은 언급했다.</p> <p contents-hash="266ad5bdb8714eefcaefe7a24b587e7877a46fba00366a0faf035af7a68432ec" dmcf-pid="57MGw9o9Xa" dmcf-ptype="general">국정원은 자율주행차, 지능형 로봇, 도심항공교통(UAM), 드론 등을 대상으로 모빌리티 사이버보안 체크리스트를 마련해 공공분야에 적용해야 한다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f29fde9360894f8df3408a8d29d129ec90bca6521297ea7a0111a4531a55b831" dmcf-pid="1zRHr2g2Xg" dmcf-ptype="general">이달 공표된 우주시스템 사이버보안 가이드라인은 우주시스템 위협 사례와 공격 시나리오, 생애주기에 따른 구성요소별 보안대책을 담고 있다.</p> <p contents-hash="434d5c916724154e26f4c7a0d219c5518e39a0735b3b2cbb0371e1bbf29b1dcd" dmcf-pid="tqeXmVaVXo" dmcf-ptype="general">이날 CSK 2025 개회식에는 30개국 60여개 정보·보안 기관 대표단과 국내외 보안 분야 관계자가 참석했다. </p> <p contents-hash="2477b32a6ab554995c35c9a45c2b0198e8238345fc1f4d6cd3e94ae598acf88f" dmcf-pid="FBdZsfNfXL" dmcf-ptype="general">이종석 국정원장은 개회사에서 "사이버 위협이 AI 강국을 향한 우리의 노력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며 "사이버 공간의 안전과 신뢰가 보장될 때 AI 발전 동력을 지켜낼 수 있다"고 말했다. </p> <p contents-hash="96532e4a84a5cc77a67a21546803909b12a0dc121469e9d2f6dc027129e44afb" dmcf-pid="3Jm21avaYn" dmcf-ptype="general">built@yna.co.kr</p> <p contents-hash="ad4c38e718c3b208eddcedb4c19b3ef5c2aeb143b278b6b5d4e5b302c8d86b01" dmcf-pid="pnOfFjyjYJ" dmcf-ptype="general">▶제보는 카톡 okjebo</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온난화 막는 지구공학, 극지 살리려다 해칠라 09-09 다음 [과학기술이 미래다] 〈171〉6공화국 마지막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09-09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