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AI 경쟁력’, 국내선 독보적 1위이지만 세계에선… 작성일 09-10 7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3대 AI 학회 논문 등재 수 세계 12위<br>미국·중국 업체가 상위권 포진</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FbPs8emelZ">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8e5396d46a049651c746a599aca1f11e8aa8bc4225d017786e7e00c553a4567" dmcf-pid="3T1MZpxpvX"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서초사옥 앞. 연합뉴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10/khan/20250910084424830kcic.jpg" data-org-width="1200" dmcf-mid="t1Fe1uRuW5"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10/khan/20250910084424830kcic.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서초사옥 앞. 연합뉴스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9258694d658cd939a6ea00dbcf9ce383cf1428fd2e89b7836c0c3b73795a4937" dmcf-pid="0ytR5UMUyH" dmcf-ptype="general">삼성전자가 인공지능(AI) 경쟁력에서 월등한 국내 1위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글로벌 빅테크에 비해서는 경쟁력이 뒤처진 상황이어서 범국가적 AI 기술력 제고가 시급한 상황인 것으로 나타났다.</p> <p contents-hash="0173eac7400ab4d1662b00c7d75c8b712868a78423cb5478635046dcd82d728d" dmcf-pid="pWFe1uRuyG" dmcf-ptype="general">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는 10일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국내 AI 특허와 논문 실적 상위 191개 기업의 AI 경쟁력 종합평가 결과를 발표했다.</p> <p contents-hash="bb905aeb1abc5b0f90082a5152f58bf47c9f2d4164439ed83f75762d8aeaf843" dmcf-pid="UY3dt7e7CY" dmcf-ptype="general">이번 평가에선 기술력(특허 피인용), 특허 활동(특허 등록 수), 학술 활동(세계 3대 AI 학회 논문 등재 수), 연구 영향력(논문 인용 수), AI 기술 인력, AI 전공 인력 등 총 6개 부문에서 기업별 경쟁력을 조사했다.</p> <p contents-hash="cc39e8bbacd814fc09b78c43ae3160a75f94068bcccb36aa51e527322c6491bd" dmcf-pid="uG0JFzdzhW" dmcf-ptype="general">CEO스코어는 항목별 1위 기업 수치를 100점으로 두고 나머지 기업과 비교하는 식으로 점수를 매겼다.</p> <p contents-hash="4e67a56d763ea54da6b3f9fc273d41d630e4fc5b42ac271c40fbfb62b51d04f1" dmcf-pid="7Hpi3qJqSy" dmcf-ptype="general">평가 결과 삼성전자는 6개 전 부문에서 1위를 차지해 총점 600점으로 종합 1위에 올랐다.</p> <p contents-hash="8896a5c2915f1aa5edeab5809790c76a9ee02e868a9a704641a3705b46b0c2cd" dmcf-pid="zXUn0BiBlT" dmcf-ptype="general">삼성전자는 특허 등록 1079건, 특허 피인용 1347회, 논문 등재 59건, 논문 인용 315회, AI 기술 인력 5만872명, AI 전공 인력 2만8058명 등을 기록했다. 2위는 네이버(162.9점), 3위는 LG(155.9점)였다.</p> <p contents-hash="d6c993fd144a41497851efc63862b6aa23f3c2b711d3aa3a9ec3582e8467c453" dmcf-pid="qZuLpbnbyv" dmcf-ptype="general">크래프톤(42.5점), KT(42.2점), 쿠팡(38.8점), 현대차(30.1점), 삼성SDS(28.8점), SK텔레콤(19.7점), 스트라드비전(19.2점) 등이 뒤를 들었다.</p> <p contents-hash="5127d4990d7c96a2d8b85b718274c88b702026f686b1d0fec94c4f2a61db44b4" dmcf-pid="B57oUKLKCS" dmcf-ptype="general">그러나 국내 기업들의 경쟁력은 글로벌 시장에서 여전히 크게 떨어지는 수준이었다.</p> <p contents-hash="67cd7537a0badd81c283b2ed35c01c1628a8ebcef1b1ab8e15b970e772a3b53b" dmcf-pid="b1zgu9o9Cl" dmcf-ptype="general">세계 3대 AI 학회 논문 등재 수로 비교한 결과, 알파벳이 820건으로 1위였고 이어 마이크로소프트(414건). 메타(385건), 아마존(273건) 등 미국 빅테크가 상위권을 석권했다.</p> <p contents-hash="880103a1f197b24c7242cc0148283239ece56adb9f452218219f931f5ee079a0" dmcf-pid="KdjZaDXDTh" dmcf-ptype="general">이어 바이트댄스(249건), 알리바바그룹(235건), 텐센트(210건), 화웨이(198건) 등의 중국 업체들이 뒤를 이었다.</p> <p contents-hash="7f86dfda5ef7912dbeadffba958ab347fc6aab7ac27fcde89881f37cd94e1aa3" dmcf-pid="9JA5NwZwyC" dmcf-ptype="general">국내 업체 중에는 삼성전자가 59건으로 12위를 기록하는 데 그쳤고, 네이버(25건)와 LG(19건)가 각각 30위와 40위로 50위 내에 포함됐다.</p> <p contents-hash="5774241ae69c6f5a518e4949de84fdcde028ddc3b19a3af47f2d4cf14140e858" dmcf-pid="2ic1jr5rvI" dmcf-ptype="general">3대 AI 학회 논문 인용 수로는 삼성전자(39위), 네이버(47위) 등 2곳만 50위권에 들었다.</p> <p contents-hash="f59fb6d8bb9c26647b30a2988ca003314c8fe0583429470fdee9807ca3f1a4ff" dmcf-pid="VnktAm1mWO" dmcf-ptype="general">이정호 기자 run@kyunghyang.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현실적이라 더 무섭다...초밀착 공포 '홈캠' 개봉 D-day 09-10 다음 '유튜버' 대도서관 부검 결과…전처 "정확한 사인은 뇌출혈" 09-10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