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짜 기지국 'KT 금전탈취' 어떻게?…손바닥 크기 장비로 속였다 작성일 09-10 20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건물 LTE 음영지역 없애는 '펨토셀' 펌웨어·키값 탈취한듯"<br>"유령 기지국 구현…중간서 소액결제 통신 조작"</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GmYcggSg5q">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444ccbd13d9c34d70284ec840dda8a6a3c726152495ad566b8cc90cae0802cb" dmcf-pid="HsGkaavaYz"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KT 광화문빌딩 웨스트 사옥 'KT 스퀘어' 전경. (KT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2025.9.9/뉴스1"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10/NEWS1/20250910110434210icew.jpg" data-org-width="1400" dmcf-mid="WAe733P3tb"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10/NEWS1/20250910110434210icew.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KT 광화문빌딩 웨스트 사옥 'KT 스퀘어' 전경. (KT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2025.9.9/뉴스1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517692d77af959bcd7b5b6bc3c6760294b6589d6699c683101b49f599bd9a00f" dmcf-pid="XOHENNTNZ7" dmcf-ptype="general">(서울=뉴스1) 윤주영 기자 = 최근 경기도 광명·부천시, 서울 영등포·금천구 등을 중심으로 피해자가 나온 KT(030200) 소액결제 해킹 사태에선 '가짜 기지국'이 사용됐다.</p> <p contents-hash="73726b603b9d9c0cee940cfa6edd3a5533d7c6208632a829f78ef10510c1756f" dmcf-pid="ZIXDjjyjtu" dmcf-ptype="general">구체적으로 공격자는 관리가 되지 않고 있는 '초소형 기지국'(펨토셀)을 탈취, 이후 이를 모사한 가짜 기지국을 만들었을 거로 추정된다. 공격자는 가짜 기지국 인근에 머문 이용자의 통신을 중간에서 가로채 조작할 수 있다. 원치 않는 소액결제도 가능하단 의미다.</p> <p contents-hash="2f27e3403dcaf9e97409cff08648112f57b420b0b2bf4354ed394b412fdcc440" dmcf-pid="5CZwAAWA5U" dmcf-ptype="general">10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KT는 불법 초소형 기지국이 자사 통신망에 접속된 것을 사건의 원인으로 보고 있다. 문제의 불법 기지국은 KT가 접속을 끊었다.</p> <p contents-hash="cd1e96d7c1ae4286161e26e8627c77fb63637d90f684b27a4c9b88540a89a1b1" dmcf-pid="1h5rccYcZp" dmcf-ptype="general">보안업계에선 카페나 공공장소 등에 설치된 펨토셀이 탈취되면서 공격이 발생한 거로 분석한다.</p> <p contents-hash="fd15ce75b00638c8737792bc769e498b0a6f4904f7dfa233126b23f572f61540" dmcf-pid="tl1mkkGk10" dmcf-ptype="general">펨토셀은 건물 내 LTE 통신 음영지역을 없애거나 트래픽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성인 손바닥 1~2개 크기 단말기가 카페 벽에 붙어있는 것을 생각하면 된다.</p> <p contents-hash="38d7b05874f135594164de6279c41294537c17e7d9b92f226410e15a79f06eb2" dmcf-pid="Fec622g2Z3" dmcf-ptype="general">박기웅 세종대 정보보호학과 교수는 "관리가 되고 있지 않은 펨토셀이라면 공격자가 뜯어본 뒤 내부 펌웨어나 장비 초기화를 시도할 수 있다"며 "여기서 중요 키값들을 얻으면 통신사 시스템을 속일 수 있는 가짜 기지국을 구현하는 게 가능하다"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9f3c5fbf3c690c41aba777757bb2c99ea586cf7209ef0a20be0c9826c0437608" dmcf-pid="3dkPVVaV1F" dmcf-ptype="general">박 교수는 기술의 발전으로 가짜 기지국을 만드는 문턱도 낮아졌다고 전했다. 라디오나 작은 방송국을 구현하는 데 쓰이는 유니버설 소프트웨어 무선주변장치(USRP)가 저렴해지면서다. 전파와 디지털 신호를 양방향으로 교환해 주는 장비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94667ea6613463b44843d6f7f85c3a511123ec081c1f123f942f320a96db0a1b" dmcf-pid="0JEQffNfXt"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2012년 글로벌 통신전시회 MWC에서 선보여진 KT 펨토셀.(KT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10/NEWS1/20250910110435694sqge.jpg" data-org-width="550" dmcf-mid="Yte733P31B"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10/NEWS1/20250910110435694sqge.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2012년 글로벌 통신전시회 MWC에서 선보여진 KT 펨토셀.(KT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4b1efcaaafddffd019b623e257b325128c3952b01d9307846a84920b8931135f" dmcf-pid="piDx44j4G1" dmcf-ptype="general">특정 지역에 피해가 몰린 이유는 가짜 펨토셀 서비스 반경에 한계가 있어서다. 공격자가 설치한 장소 인근을 머문 이용자는 타깃이 될 수 있다.</p> <p contents-hash="1d66272f0b0ac82e9bdc2c2ca829116deada6acbee42f7a30dc0af5f1fb84695" dmcf-pid="UnwM88A815" dmcf-ptype="general">박 교수는 "가짜 기지국이 확보되면 공격자는 이용자와 중앙 시스템 사이 통신 전 과정을 지켜보고, 필요하다면 조작도 할 수 있다"며 "소액결제는 제한시간 내 본인확인 번호만 인증하면 되는 통신이다. ID·PW도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이같은 '중간자 공격'이 가능하다"고 부연했다.</p> <p contents-hash="b24945f8ed857c269aa3eb162cd59258c895332813033046ca19978b9a511e7a" dmcf-pid="uLrR66c6YZ" dmcf-ptype="general">LTE 펨토셀은 KT뿐 아니라 다른 이동통신사들도 운영한다. KT에서만 피해가 나온 건 비교적 관련 보안조치가 미흡했기 때문일 거란 지적도 있다.</p> <p contents-hash="ab398effe65f8bfc13e529d6e7c9923407d7c172f1b140b107fba0fa6942f9e6" dmcf-pid="7omePPkPGX" dmcf-ptype="general">업계 관계자는 "통신 송수신의 무결성을 검증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해시값'이란 걸 시스템에서 확인한다"며 "회사의 해시값 확인 과정이 허술했을 수 있다. 혹은 해시값 유효시간이 길어 공격자에게 비교적 넉넉한 준비 시간을 허용한 것도 상상해 볼 수 있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ae30f6dd6d76e8d40429032a78ee43c28f6ddd450086b579e5def1da135b560e" dmcf-pid="zgsdQQEQGH" dmcf-ptype="general">한편 민관 합동조사단을 꾸린 과기정통부는 피해 지역 이외 다른 곳에선 불법 기지국이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고 전했다. 과기정통부는 해커가 불법 초소형 기지국으로 정보를 탈취했는지 여부, 무단 소액결제가 이뤄진 구체적 방식 등을 조사하고 있다.</p> <p contents-hash="fc99fb934848da9da6260da71794e440dc66f5722cda2ca33bbe3afc41e09275" dmcf-pid="qdkPVVaV1G" dmcf-ptype="general">legomaster@news1.kr<br><br><strong><용어설명></strong><br><br>■ 펨토셀<br>가정이나 소규모 사무실을 위한 초소형·저전력의 이동통신 기지국이다. 데이터 트래픽 분산이나 음영지역 해소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서비스 가능 반경은 통상 수십미터 이내다.<br><br>■ USRP<br>USRP 장비는 소프트웨어 정의 라디오 주파수(RF) 아키텍처를 제공한다. 사용자 정의 신호 처리를 통해 무선 시스템을 설계하거나, 프로토타입 제작·배포 등 연구·교육용으로 쓰일 수 있다.<br><br>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체험해보니 시간이 '순삭'…英 고객 사로잡은 '삼성 킹스크로스' 09-10 다음 [경륜] 가을 시즌 본격 돌입...특선급 다크오스 박건수 주목 09-10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