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사마 빈 라덴'이 끝났을 뿐, 테러는 계속된다 작성일 09-10 5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넷플릭스 오리지널 리뷰] <아메리칸 맨헌트: 오사마 빈 라덴></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ZiTB44j47C"> <p contents-hash="961272f939f5f4bcb5e3dcdefcbcf06676a975ed748d46558f664d0b1efe6c3c" dmcf-pid="5nyb88A8pI" dmcf-ptype="general">[김형욱 기자]</p> <p contents-hash="0fd2bf2482025f3dcc64891a9387252edfd38ce4bdd5cdb4ddeb4dec0dd0c935" dmcf-pid="1LWK66c67O" dmcf-ptype="general">2000년대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불렸을 이름은 충분히 예측이 가능하다. 바로 '오사마 빈 라덴'으로 이제는 그때 그 시절의 시대적 아이콘이 되었다고 봐도 무방하다. 석유 재벌 집에서 태어나 엘리트 코스를 밟은 그는 1980년대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에 반군 게릴라(무자헤딘)로 참전하며 미국 측과 친했는데, 전쟁이 끝난 후 본국으로부터 토사구팽 당하곤 반미주의로 선회한다.</p> <div contents-hash="e0c30aaea451413f6a6d40c0885b47c8b5eb9ef5a8dcf3063bbc93eaa46c48ac" dmcf-pid="toY9PPkP3s" dmcf-ptype="general"> 그렇게 빈 라덴은 휘하의 무자헤딘 세력을 기반으로 수니파 이슬람 극단주의 테러 조직 '알카에다'를 설립하여 1990년대 본격적으로 반미 테러를 이어간다. 꽤 굵직한 테러를 일으켰기에 당연히 CIA에선 빈 라덴과 알카에다를 주시했고 조만간 아주 큰 테러가 있을 거라 예상하고 있었다. 그러던 2001년 9월 11일, 세계무역센터가 비행기 두 대에 의해 완전히 붕괴되는 미증유의 대사건이 발생하고 만다. </div> <table align="center" border="0" cellpadding="0" cellspacing="0" contents-hash="8190fc821aa1102c5d4a17e93db1fca7d1cfd64206fdc725c70bdbc3e6519a76" dmcf-pid="FgG2QQEQFm" dmcf-ptype="general"> <tbody> <tr> <td>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10/ohmynews/20250910115718698edfd.jpg" data-org-width="620" dmcf-mid="G4TfMMwMFS"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10/ohmynews/20250910115718698edfd.jpg" width="658"></p> </figure> </td> </tr> <tr> <td align="left"> <strong>▲ </strong> 넷플릭스 오리지널 다큐멘터리 시리즈 <아메리칸 맨헌트: 오사마 빈 라덴> 포스터.</td> </tr> <tr> <td align="left">ⓒ 넷플릭스</td> </tr> </tbody> </table> <div contents-hash="8d595d8d2783106af812c6884db0198477451ee0fc3bf1ce702dd200786a81de" dmcf-pid="3aHVxxDxUr" dmcf-ptype="general"> 넷플릭스 오리지널 다큐멘터리 시리즈 <아메리칸 맨헌트: 오사마 빈 라덴>이 9.11 테러를 중심으로 오사마 빈 라덴의 생전 행적을 치밀하게 뒤쫓는다. 당시 CIA의 핵심 요원들이 대거 인터뷰이로 출연해 현장감을 높였다. 미국 정부는 '테러와의 전쟁'을 선포하며 CIA 특수부대를 아프가니스탄으로 급파한다. </div> <p contents-hash="51181374c9b09ec6d84fb40c4b0bf04f0dc6dec4c0f4216ea117b8133875c864" dmcf-pid="0ktPJJOJpw" dmcf-ptype="general">그들은 탈레반(당시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을 이끈 조직)이 오사마 빈 라덴을 숨기고 있다고 판단했고 아프가니스탄 수도 카불을 비롯해 전역을 빠르게 점령해 나갔다. 그렇게 탈레반을 축출하고 빈 라덴이 있을 거라 확신한 토라 보라로 진격해 초토화시킨다. 하지만 6개월 후 빈 라덴이 모습을 드러냈다.</p> <p contents-hash="0d24516c27ee0339c3decf9059c949c2d141f67a14d53f98630d33beebc2b407" dmcf-pid="pEFQiiIipD" dmcf-ptype="general"><strong>오사마 빈 라덴과 9.11 테러, 그리고 CIA</strong></p> <p contents-hash="1447c7d01b234d56f9c72a87a9b85fc6375e33fd4d0b858221a4006a3800f0ce" dmcf-pid="UD3xnnCnzE" dmcf-ptype="general">오사마 빈 라덴과 9.11 테러는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다. 그의 명령을 받은 자살 특공대들이 미국의 핵심으로 파고들어 미국이라는 세계 최강대국을 한순간에 무력화시켰으니 말이다. 하지만 그는 9.11 테러 이전에도 이후에도 끊임없이 반미 테러를 저지른다. 일반 대중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을 뿐 CIA는 아주 잘 알고 있었거니와 굵직한 테러가 많다.</p> <div contents-hash="3e4bacc5cc1d5cd8db17c967733d917739fe4599fa310d19548d88618bfd34e0" dmcf-pid="uw0MLLhLpk" dmcf-ptype="general"> 무슨 말인고 하면, CIA는 예상하고 있었지만 본토 공격을 기다린 측면도 없지 않아 있다는 것이다. 그래야 확실한 명분이 서니 말이다. 뿐만 아니라 빈 라덴을 잡아 죽인다는 명분으로 카불을 폭격했을 때 민간인 사상자가 대거 발생하기도 했다. 그들도 미국의 민간인을 죽였으니 보복 차원이었을까 싶지만 그러진 않았을 테고, 명분을 가장 앞세웠기 때문일 테다. </div> <table align="center" border="0" cellpadding="0" cellspacing="0" contents-hash="3c5bfcac35a78a644090c95f557e02da44bd20727a7cbf6aaac8d7b600773a92" dmcf-pid="7rpRoolozc" dmcf-ptype="general"> <tbody> <tr> <td>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10/ohmynews/20250910115719922wezo.jpg" data-org-width="1200" dmcf-mid="HTqjrr5r3l"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10/ohmynews/20250910115719922wezo.jpg" width="658"></p> </figure> </td> </tr> <tr> <td align="left"> <strong>▲ </strong> 넷플릭스 오리지널 다큐멘터리 시리즈 <아메리칸 맨헌트: 오사마 빈 라덴>의 한 장면.</td> </tr> <tr> <td align="left">ⓒ 넷플릭스</td> </tr> </tbody> </table> <div contents-hash="d27749366d6ec0056ee2c46ba5af0c3221fc17bf9938ddc4fe55d67e167bd3a5" dmcf-pid="zmUeggSgzA" dmcf-ptype="general"> 빈 라덴을 잡을 수 있을 기회가 수차례 있었으나 미국 정부와 CIA가 따로 또 같이 무기력한 모습을 보였다. 이제 빈 라덴이 어디서 무얼 하고 있는지 알 도리가 없다시피 했다. 그러다가 결정적 기회를 잡았는데, 철저하게 계획된 함정이었다. 그때 CIA 최정예 요원 몇 명이 현장에서 폭사하고 만다. 큰 충격을 받은 CIA. </div> <p contents-hash="22c0fa982541ea030270a790587d3373e6851b2398f679683c6f3444f706302e" dmcf-pid="qsudaavazj" dmcf-ptype="general">이후 CIA는 절치부심하여 무슨 일이 있어도 빈 라덴을 반드시 잡는다고 천명한다. 그렇게 10여 년의 세월이 흐른다. CIA 국장을 비롯한 수뇌부도 모두 바뀐 건 물론 미국 대통령도 부시에서 오바마로 바뀐다. 2010년대에 접어들기도 했다. 그동안 미국은 아프가니스탄을 침공했고 이라크도 침공하며 천문학적인 돈을 쏟아부었다. 그러던 2011년 즈음 결정적인 단서를 얻는다.</p> <p contents-hash="7c3f98612f22f123708c8924d87ce7ad8be70a262e423c942b745823a18c0b6c" dmcf-pid="BO7JNNTNUN" dmcf-ptype="general"><strong>넵튠 스피어 작전의 대성공, 그러나... </strong></p> <p contents-hash="4af90b1ca72ef063ba47b6fe24140322384ddcf4dc58bb9f6982d5c70291f6ab" dmcf-pid="bmUeggSgUa" dmcf-ptype="general">빈 라덴이 가족과 함께 파키스탄 아보타바드의 부촌 안전가옥에 은신하고 있다는 첩보였다. 그와 여러모로 비슷해 보이는 이가 활보하고 있다는 첩보도 입수한다. 하지만 100% 확신할 수 없었고 시간만 흘렀다. 어떤 수를 써도 그가 그인지 확인할 도리가 없었다. 즉 얼굴을 확인할 수 없었던 것. 이제 대통령의 결단이 남아 있을 뿐이었다.</p> <div contents-hash="15b189f04ae4f8ed1e28235fcebbdfd8042e971fb16acc78459e76a08e428281" dmcf-pid="KsudaavaFg" dmcf-ptype="general"> 확신이 없으니, 그가 맞고 사살한다면 역사에 길이 남을 대성공일 테고 그가 아니거나 사살하지 못한다면 역사에 길이 남을 실패로 남을 터였다. 그렇게 2011년 5월 1일 미국 특수작전사령부의 최정예 특수부대인 해군특수전개발단을 현장으로 출동시킨다. 어마어마한 긴장감이 감도는 작전 끝에, 넵튠 스피어 작전은 대성공을 거둔다. </div> <table align="center" border="0" cellpadding="0" cellspacing="0" contents-hash="ed8daff234d75aa029cbca53989259f38cbc036aac076e74165f9b73ab22528e" dmcf-pid="9O7JNNTNUo" dmcf-ptype="general"> <tbody> <tr> <td>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10/ohmynews/20250910115721149aqpf.jpg" data-org-width="1280" dmcf-mid="Xjhu99o9uh"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10/ohmynews/20250910115721149aqpf.jpg" width="658"></p> </figure> </td> </tr> <tr> <td align="left"> <strong>▲ </strong> 넷플릭스 오리지널 다큐멘터리 시리즈 <아메리칸 맨헌트: 오사마 빈 라덴>의 한 장면.</td> </tr> <tr> <td align="left">ⓒ 넷플릭스</td> </tr> </tbody> </table> <div contents-hash="157b86920e6621b9f8eaf6dcc8aba3e25d6dc9f01f363805dcfee6e5155bf16e" dmcf-pid="2Izijjyj3L" dmcf-ptype="general"> 그렇게 오사마 빈 라덴은 죽었다. 여러 찜찜한 음모론이 뒤따르지만 여하튼 그는 죽었다. 현대 테러리즘의 절대적 축이 무너진 것이다. 미국 전체가 환호할 만했다. 그런데 과연 테러리즘의 끝인가? 이야기는 마무리되었는가? 전혀 그렇지 않다. 한 챕터, '오사마 빈 라덴'이라는 챕터가 끝난 것뿐이다. </div> <p contents-hash="4030f8e41fe6df1c8be26c0069005eab7d9f706aede5e9fc20b9a8d3136a2361" dmcf-pid="VCqnAAWAun" dmcf-ptype="general">주지했듯 테러는 9.11 테러 이전에도 계속되었고 이후에도 계속되었으며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다. 테러를 발본색원할 수밖에 없을 텐데, 몇 가지의 방향성으로 동시에 실행에 옮겨야 하지 않을까 싶다. 전 세계적인 한 목소리로 강력히 규탄하고 테러의 핵심을 타격하는 동시에 그들이 하는 말, 하고 싶은 말을 진지하게 들어봐야 한다. 총체적으로 접근해야 하는 것이다.</p> <p contents-hash="32edbed1ea5a9e8f9a4903fc23c437b66b35d5b501ce78bf31c65b1121270799" dmcf-pid="fhBLccYczi" dmcf-ptype="general"><strong>덧붙이는 글 | </strong>이 기사는 singenv.tistory.com과 contents.premium.naver.com/singenv/themovie에도 실립니다.</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대한MMA총협회, 9월 13일 정읍에서 2026 아이치·나고야 아시안 게임 국가대표 선발전 개최 09-10 다음 선미, '1500만 뷰' 원조 워터밤 여신 아니었나…"차현승 때문인 듯" (살롱드립) 09-10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