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국내 AI 경쟁력 1…글로벌 빅테크에는 뒤져 작성일 09-10 27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4C5Gtt8tIg">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ced960cacf42ed6b124464ed6ced507b599dbc8fa2aa0be8cf97d9bd29c1d3bc" dmcf-pid="8h1HFF6FOo"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국내기업 AI 경쟁력 순위표"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10/etimesi/20250910134550262oiay.png" data-org-width="700" dmcf-mid="2EQX33P3sj"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10/etimesi/20250910134550262oiay.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국내기업 AI 경쟁력 순위표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552d33b9ad26143a1edf14472bfe464daf32f5e85baa7c042ca8624bf1add606" dmcf-pid="6ltX33P3mL" dmcf-ptype="general">삼성전자가 국내 기업 중 인공지능(AI) 경쟁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평가됐다. 네이버와 LG(LG AI연구원·LG전자)가 뒤를 이었다. 다만, 구글·마이크로소프트(MS) 등 글로벌 빅테크와 비교하면 격차가 큰 것으로 조사됐다.</p> <p contents-hash="772e38c6a6119fb178bc401c31300508020c8ec4f40d48f3c854efdf239b62e5" dmcf-pid="PSFZ00Q0rn" dmcf-ptype="general">CEO스코어(대표 조원만)는 국내 AI 관련 특허와 논문 실적 상위 191개 기업을 대상으로 AI 경쟁력을 종합 평가해 이같이 발표했다.</p> <p contents-hash="6bfa19aaf63955a3b679e52b6e6548e29d1dfca7e52cb1205c143339019f1933" dmcf-pid="Qv35ppxpsi" dmcf-ptype="general">CEO스코어는 △기술력(특허 피인용) △특허 활동(특허 등록 수) △학술 활동(세계 3대 AI 학회 논문 등재 수) △연구 영향력(논문 인용 수) △AI 기술 인력 △AI 전공 인력 등 총 6개 부문에서 기업별 경쟁력을 조사했다. 항목별 1위 기업의 수치를 100점으로 환산, 나머지 기업과 비교하는 방식으로 점수를 매겼다.</p> <p contents-hash="6311634fca2612f30e0ab3f85b9c0e8d4c2e5c4be96c84b18d175bd0ab1b1cb2" dmcf-pid="x7PfxxDxsJ" dmcf-ptype="general">삼성전자가 각 부문에서 600점 만점을 기록하며 1위에 올랐다. 삼성전자는 특허 등록 1079건, 특허 피인용 1347회, 논문 등재 59건, 논문 인용 315회, AI 기술 인력 5만872명, AI 전공 인력 2만8천58명 등조사 대상 각 항목에서 최상위를 기록했다.</p> <p contents-hash="078568c13ea98b7950163edddc4c1526d7113774d14cc9675a845cc0bc8e80eb" dmcf-pid="ykvCyyqysd" dmcf-ptype="general">2위는 162.9점을 받은 네이버, 3위는 155.9점을 받은 LG다. 네이버는 논문 등재(25건)와 인용(247회) 등 학술 부문에서, LG는 특허(등록 400건, 피인용 529회)와 논문(19건)에서 강세를 보였다.</p> <p contents-hash="1f22b425a96e9c257ab0bc89b9b5db6b01285e259033505354517cda91308ceb" dmcf-pid="WEThWWBWse" dmcf-ptype="general">이어 크래프톤(42.5점), KT(42.2점), 쿠팡(38.8점), 현대차(30.1점), 삼성SDS(28.8점), SK텔레콤(19.7점), 스트라드비전(19.2점) 순이다.</p> <p contents-hash="ffe841ae5780347fac2902380ffc8f57c728d5cf753c5fd1cacb3ec0f3b7aaec" dmcf-pid="YDylYYbYmR" dmcf-ptype="general">업종별 경쟁력에선, 제조업은 삼성전자, LG, 현대차 순이었다. 인터넷·플랫폼 업종은 네이버, 쿠팡,카카오, 통신은 KT, SK텔레콤, LG유플러스 순이다.<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427080d25b4802c2139c292a4589a8d604babea813257cab1fe2f354177f17eb" dmcf-pid="GwWSGGKGmM"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국내기업 업종별 AI 경쟁력표"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10/etimesi/20250910134551510dsrd.png" data-org-width="700" dmcf-mid="VFqITTzTON"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10/etimesi/20250910134551510dsrd.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국내기업 업종별 AI 경쟁력표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8ff57cd48eada704342184d01157a5d4be5d3aa47a6131ea1d1e9d59195e6998" dmcf-pid="HrYvHH9Hmx" dmcf-ptype="general">하지만, 국내 기업의 AI 경쟁력은 글로벌 시장에서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p> <p contents-hash="f98d70beb19ad9fa04e091003790d12d0a72b0727f072682770a3a9f9e98d583" dmcf-pid="XmGTXX2XmQ" dmcf-ptype="general">세계 3대 AI 학회 논문 등재 수로 비교한 결과, 알파벳이 820건으로 1위를 기록했고, 이어 MS(414건), 메타(385건), 아마존(273건) 등 미국 빅테크가 상위권을 석권했다.</p> <p contents-hash="2ff17c9eb989070dea2e285d4f2ba57aaf1debe1adac9d1e0e0def199c4ef8cb" dmcf-pid="ZsHyZZVZwP" dmcf-ptype="general">이어 바이트댄스(249건), 알리바바그룹(235건), 텐센트(210건), 화웨이(198건) 등으로 중국 업체들이 포진했다.</p> <p contents-hash="1f78b4d84e4080451be5398b3025dd6f5821e052e3f5d6bda53bb4e2b79a7631" dmcf-pid="5OXW55f5E6" dmcf-ptype="general">국내 기업 중에는 삼성전자가 59건으로 12위를 기록하는 데 그쳤다. 네이버(25건)와 LG(19건)가 각각 30위와 40위로 50위 내에 포함됐다. 3대 AI 학회 논문 인용 수로는 삼성전자(39위), 네이버(47위) 등 2곳만 50위권에 들었다.<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98f6f6e5097ff6ba215bb894c6475597a1c4a991e41e0e7de0a182c532a264e9" dmcf-pid="1IZY1141w8"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3대 AI학회 논문 등재 및 인용수 표."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10/etimesi/20250910134552808sqzp.png" data-org-width="700" dmcf-mid="fLPfxxDxra"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10/etimesi/20250910134552808sqzp.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3대 AI학회 논문 등재 및 인용수 표.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236ae2107d2b6946d3061c1b96560f8673c47d2183ec4b8bebdf35b4ea83758c" dmcf-pid="tC5Gtt8tO4" dmcf-ptype="general">임중권 기자 lim9181@etnews.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CIT, 반도체 패키징용 구리 증착 유리 기판 개발···속도·비용·효율 개선 [스타트업-ing] 09-10 다음 '홈에서 충격' 김우진, 32강 탈락...올림픽 3관왕이 "이럴 수가" 아쉬움 09-10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