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호르몬 전혀 없다더니” 충격 결과…비스페놀 대체물질서도 ‘독성’ 검출, 초비상 작성일 09-10 24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 미토콘드리아 기능 손상 유발, 안전 규제 기준 마련 시급</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ZbOel5f51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a39c605180f65601aea40bdca5e0cb3100f375d9ed4480e64f5c76aaa553a40" dmcf-pid="5KIdS14156"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123RF]"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10/ned/20250910152448069nzgv.jpg" data-org-width="640" dmcf-mid="H0TgGUMUXx"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10/ned/20250910152448069nzgv.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123RF]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b346a516a6fa0255262d5c13ab8215413869f94fbae8d8043053e1bc8550542a" dmcf-pid="19CJvt8tX8" dmcf-ptype="general">[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인체에 위해한 환경호르몬을 배출한다고 지목되어온 ‘비스페놀A(BPA)’ 대체물질에서도 ‘독성’이 유발된다는 충격적 연구결과가 나왔다.</p> <p contents-hash="ad3ee188aa98c4c02d2189133f2092d004c852499dda593f60e672239e6c4f79" dmcf-pid="t2hiTF6F14" dmcf-ptype="general">비스페놀 A는 암, 생식기능 장애, 자폐증, 심혈관 합병증은 물론 조기 사망과도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유해 화학물질이다.</p> <p contents-hash="1a54fb96a2712a8e3b55395f741f75e1cf66b660faa234cdcaa23d649018360f" dmcf-pid="FVlny3P3tf" dmcf-ptype="general">국가독성과학연구소 바이오헬스연구센터 현문정 박사 연구팀과 미국 플로리다대학교 한성민 교수 연구팀은 비스페놀 A(BPA) 대체물질인 비스페놀 TMC(BPTMC)에 대한 독성 연구를 수행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10일 밝혔다.</p> <p contents-hash="b3254c96689249aaa783f51173dace887f83a7421f06bec93bd9c48d2529ef65" dmcf-pid="3fSLW0Q01V" dmcf-ptype="general">비스페놀 TMC(BPTMC)는 일상생활 및 산업용 플라스틱 생산에 활용되는 화합물로, 식품 포장재 및 유아용 젖병과 같은 가정용품에 흔히 쓰이고 있다.</p> <p contents-hash="5eb408b728d570a72eb81ff355d86a52643565797b5335cfb742976b864f8bfe" dmcf-pid="04voYpxpH2"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독성 스크리닝에 최적화된 동물대체시험 모델인 예쁜꼬마선충(C. elegans)에 비스페놀 TMC를 지속 노출하는 방식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이어 노화, 건강 수명, 생식 등 미토콘드리아에 미치는 독성 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전사체 분석 결과를 토대로 독성 기전을 규명했다.</p> <p contents-hash="e193615c8a1093c6917e26546763532f48bbefa4a3eca625ce11c78099a5524b" dmcf-pid="p8TgGUMU19" dmcf-ptype="general">실험 결과, 비스페놀 TMC에 노출된 예쁜꼬마선충에서 발달 지연, 신체 성장 감소, 생식 감소, 비정상적인 조직 형태 등 유해한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유기체의 수명이 현저하게 단축되고, 신경 세포 노화가 촉진됐으며, 운동성 및 스트레스 저항성이 감소하는 양상을 발견했다.</p> <p contents-hash="c2c56500b976dbc2594348b869449a7ddaea59481e2e7f6c3862781070472931" dmcf-pid="U6yaHuRuHK" dmcf-ptype="general">또한 독성 기전 분석 결과, 비스페놀 TMC는 미토콘드리아 기능을 떨어트리고 활성 산소를 증가시켜, 미토콘드리아 생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 발현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404b4a282138a8dad3e0b9c1298bd54378e17df0bb1d98f7c74b504e03d5d319" dmcf-pid="uPWNX7e75b"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현문정 국가독성과학연구소 박사.[국가독성과학연구소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10/ned/20250910152448297abci.jpg" data-org-width="1280" dmcf-mid="XTM0JkGktQ"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10/ned/20250910152448297abci.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현문정 국가독성과학연구소 박사.[국가독성과학연구소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765dcd42aa12960969669d6dd60099f10f948957a389b85519af470c2d6a1d4f" dmcf-pid="7BsRhZVZtB" dmcf-ptype="general">이번 연구는 ‘비스페놀 A의 대체물질로 사용되어 온 비스페놀 TMC가 생체 내 미토콘드리아 기능을 떨어트리고 신경 세포 노화를 촉진하는 등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과학적으로 규명한 중요한 성과다.</p> <p contents-hash="f3fc0f21eb577f607de35fba04e2b773ab427b9996cf5dd986ce87b4135d3a94" dmcf-pid="zbOel5f5Gq" dmcf-ptype="general">이는 현재까지 뚜렷한 독성 기준이 없었던 신규 화학물질에 대한 안전성 평가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향후 관련 규제 및 기준 마련에 과학적 근거를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p> <p contents-hash="81283b4b642658975e4243623fc69f79f70cbddecc5772d67266b0589e98795b" dmcf-pid="qKIdS141Yz" dmcf-ptype="general">현문정 박사는 “향후 신규 독성물질의 대사증후군 상관성 평가 나 환경성 질환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근거 자료가 될 것”이라며 “이번 연구에 이어 내분비교란물질에 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p> <p contents-hash="4983e9a3c5da7fd55708b03df57caa2dad0dd4a7e286d2cd6889a2abe9e8e695" dmcf-pid="B9CJvt8t57" dmcf-ptype="general">이번 연구성과는 환경 과학분야 국제학술지 ‘Ecotoxicology and Environmental Safety’에 게재됐다.</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애플 ‘아이폰17 에어’로 초슬림폰 경쟁...삼성과 정면대결(종합) 09-10 다음 NH농협 김해시지부, 김해시민체육대회 후원금 2천만원 기탁 09-10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